[아프간 사태 전문가 인터뷰] 이희수 "美·中 관계 의식하지 말고 탈레반과 외교 수립하자"

2021-08-18 00:00
  • 글자크기 설정

"탈레반, 한국에 특별히 적대감 없어"

"美 공백, 中이 채운다?···지나친 과장"

"탈레반, 위구르 문제 개입시 中급변"

"미·중 의식 말고 개별관계 수립해야"

"냉혹한 국익 입장서 색안경 버려야"

이희수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사진=한양대 제공]
 

"미·중 관계를 의식하기보다 탈레반과 개별적으로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게 낫다."

이희수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가 17일 본지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탈레반이 한국에 특별히 적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정부에 탈레반과의 외교 관계 수립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아프가니스탄 사태가 한국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크지는 않을 것"이라며 "탈레반과 네트워크를 잘 구축하면 오히려 전후 복구사업, 아프간 진출 등 기회를 만들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2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아프간에서의 미군 철수를 결정한 가운데 수니파 이슬람 무장 정치조직인 탈레반은 지난 15일 수도 카불을 사실상 함락하며 아프간을 점령했다.

외교가에서는 아프간 내 미국의 공백을 중국이 채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며, 한국 정부로서는 미·중 전략적 경쟁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는 우려가 뒤따른다. 중국은 최근 탈레반과 밀접한 파키스탄 등과 손을 잡고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에 이 교수는 "지나친 과장 같다"며 "아프가니스탄에 대해 '제국의 무덤'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느냐. 탈레반은 무엇보다도 중국, 러시아 등 제국이 (내정에) 개입하는 것을 선천적으로 견디지 못한다"고 일축했다.

그는 "탈레반은 미국도 싫어하지만 공산주의, 사회주의 국가에 대해서도 좋지 않은 인상을 가지고 있다"며, 특히 국제적 이슈로 부상한 중국의 신장(新疆) 위구르 지역 내 무슬림 탄압 문제를 거론했다.

이 교수는 "(같은 무슬림인) 탈레반이 신장 위구르 문제에 개입하면 중국 입장도 하루아침에 변할 수 있다"며 "전후 복구 과정에서 중국이 유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의 아프간 진출도 안정적인 상황은 아니다"라고 짚었다.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인 탈레반이 신장 위구르 지역 내 무슬림에 대한 지원을 희망할 것으로 점쳐지며 이 과정에서 중국과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얘기다.

결국 이 교수는 한국의 향후 대(對) 아프간 외교 방향에 대해 "탈레반이 '나쁜 정권'이기는 하지만 국제사회 개방과 외국인 투자 없이는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안다"며 "우리는 냉혹한 국익의 입장에서 '나쁜 정권'이라는 색안경을 버리고 가는 게 낫다"고 밝혔다.

이어 "(탈레반이) 이왕에 집권한 실세 정부라면 한국은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국익을 만들어가는 게 훨씬 더 중요하다"며 "물론 우리도 국제사회 공조를 통해 여성인권 탄압과 반민주 체제에는 반대한다는 보조를 같이하겠지만 개별적인 소통채널 창구를 풀가동해서 아프간 전후 복구에 대한 참여 기회를 늘리는 게 낫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날까지도 아프간에 체류 중이었던 교민 1명과 공관원 3명은 이날 오전 9시경 카불공항을 통해 아프간에서 철수, 중동 제3국에 도착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