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바른 소비습관이 재테크의 첫걸음입니다. '짠테크(구두쇠+재테크)'를 통한 지출 다이어트로 젊은 직장인들이 따라 할 수 있는 '푼돈' 아끼는 비법을 소개합니다.
전국이 35도를 넘나들며 압력솥에 갇힌 듯한 더위가 이어지자 에어컨 사용량이 크게 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요금 폭탄'을 우려해 에어컨 전기세 절약법을 묻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에어컨 껐다 켰다 vs 계속 켜두기' 이 중 전기세 폭탄을 피하는 방법은 어느 쪽일까. 정답은 '에어컨 종류에 따라 다르다'이다. 먼저 에어컨은 인버터형과 정속형이 있다. 인버터형은 실내가 희망 온도에 다다르면 전력을 최소한으로 쓰면서 온도를 유지한다. 반면 정속형은 희망 온도가 돼도 언제나 100% 출력으로 운전한다.
'에어컨 껐다 켰다 vs 계속 켜두기' 이 중 전기세 폭탄을 피하는 방법은 어느 쪽일까. 정답은 '에어컨 종류에 따라 다르다'이다. 먼저 에어컨은 인버터형과 정속형이 있다. 인버터형은 실내가 희망 온도에 다다르면 전력을 최소한으로 쓰면서 온도를 유지한다. 반면 정속형은 희망 온도가 돼도 언제나 100% 출력으로 운전한다.
그렇다면 우리 집 에어컨 종류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에어컨을 2011년 이후에 샀다면 인버터형일 확률이 높다. 인버터형은 2011년 이후에 출시됐기 때문이다. 언제 샀는지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는다면 에어컨(실내기) 전면부나 제품 상세 페이지에 인버터(Inverter)라고 쓰여 있는지 확인해보자.
반면 에어컨을 2010년 이전에 구매했거나 에너지소비효율 등급이 5등급이라면 대부분 정속형이다. 또 실내기와 상세 페이지에 인버터라는 말이 없어도 정속형이다.
인버터형은 껐다 켜기를 반복하지 않고 계속 켜둬야 전기세를 아낄 수 있다. 인버터형은 더운 실내를 시원하게 만들 때 전력을 소비한 뒤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절전모드로 집을 시원하게 유지한다. 하지만 정속형은 일정 간격을 두고 껐다 켜기를 반복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강한 냉방으로 실내 온도를 낮춘 뒤 에어컨을 끄고, 2시간 뒤에 실내가 더워지면 다시 에어컨을 켜는 식이다.
인버터형은 껐다 켜기를 반복하지 않고 계속 켜둬야 전기세를 아낄 수 있다. 인버터형은 더운 실내를 시원하게 만들 때 전력을 소비한 뒤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절전모드로 집을 시원하게 유지한다. 하지만 정속형은 일정 간격을 두고 껐다 켜기를 반복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강한 냉방으로 실내 온도를 낮춘 뒤 에어컨을 끄고, 2시간 뒤에 실내가 더워지면 다시 에어컨을 켜는 식이다.
인테리어 플랫폼업체 '오늘의집'에 따르면 정속형 에어컨(6평형 기준)을 12시간 동안 계속 틀었을 때는 전기세가 2만9570원이었지만, 2시간 간격으로 켜고 껐을 때는 8530원이었다. 전기세 약 70%를 아낄 수 있는 셈이다. 반대로 인버터형 에어컨(7평형 기준)은 12시간 동안 틀었을 때 7910원이었으나 2시간 간격으로 틀고 끌 땐 1만2230원이었다.
또 에어컨은 희망 온도를 지나치게 낮게 설정하기보다 24~26도를 유지하는 게 좋다.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낮출 때 전력을 많이 사용한다.
또 에어컨은 희망 온도를 지나치게 낮게 설정하기보다 24~26도를 유지하는 게 좋다.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낮출 때 전력을 많이 사용한다.
주기적인 에어컨 필터 청소도 냉방 효과를 높여 전기세 절약에 도움을 준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먼지나 오염 입자 등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만 세척해도 냉방기기 내부의 원활한 공기 순환으로 냉방 효과를 약 60% 높일 수 있다. 이는 에너지도 5% 아끼고 전기세도 27%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