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반등과 백신 접종 확대로 내수 회복 기대감이 작용하면서 3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가 7년 만에 기준치를 상회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4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3분기 BSI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보다 4포인트 상승한 103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3분기 경기를 2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로, 수치가 기준치(100)를 상회한 것은 2014년 3분기 이래 7년 만이다.
대한상의는 “미국·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에 따라 최근 수출이 2개월 연속 40% 이상 증가하고 있고, 국내 백신 접종률도 크게 늘어 하반기 내 집단면역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등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수출(112)과 내수(101) 부문의 경기전망지수는 모두 기준치를 넘어섰다.
업종별로는 ‘기계(120)’, ‘제약(113)’, ‘IT·가전(108)’, ‘의료정밀(106)’, ‘식음료(105)’ 등이 기준치를 웃돌았다.
미국 공공 인프라 확대 정책의 수혜가 예상되는 기계업종의 체감경기가 특히 좋았고, 코로나 특수성과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바이오·소비재의 경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가상승의 영향으로 정제마진이 낮아진 ‘정유 석화(96)’를 비롯해 ‘조선·부품(85)’, ‘출판인쇄(81)’, ‘비금속 광물(80)’ 등의 업종은 부정 전망이 우세했다.
지역별로는 충남(116), 서울(114), 광주(113), 인천(108) 등 10곳이 기준치를 웃돌았다. 충남의 경우, ‘K-반도체’ 정책에 따른 투자 증가 예상이 호재로 작용했다.
강원(79), 전북(89), 세종(90) 등의 지역은 부정 전망이 많았다. 건설업이 많이 포진해있는 강원의 경우 최근 철근, 시멘트 등 주요 건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목표실적 달성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 기업의 49.3%이 ‘상반기 목표치를 달성 혹은 초과할 것’이라고 답했다.
‘목표치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 50.7%였지만 코로나 이전의 응답률(60.6%)과 비교했을 때, 경기회복 기대감이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로는 기업의 채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율·원자재가 변동성’(67%)과 코로나 추가 확산 우려에 따른 ‘내수 침체’(45.3%), ‘최저임금, 기업 부담법안 등 정책 리스크’(38.3%)를 차례대로 꼽았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경제는 심리임을 감안할 때 거시지표와 통계가 말하는 회복세보다 산업현장 일선에서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회복이 더 고무적이고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보다 견조한 경기 회복세를 위해 원자재가·수출운임 변동성과 미국발 금리발작 가능성 등에 대해 정책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4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3분기 BSI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보다 4포인트 상승한 103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3분기 경기를 2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로, 수치가 기준치(100)를 상회한 것은 2014년 3분기 이래 7년 만이다.
대한상의는 “미국·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에 따라 최근 수출이 2개월 연속 40% 이상 증가하고 있고, 국내 백신 접종률도 크게 늘어 하반기 내 집단면역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등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기계(120)’, ‘제약(113)’, ‘IT·가전(108)’, ‘의료정밀(106)’, ‘식음료(105)’ 등이 기준치를 웃돌았다.
미국 공공 인프라 확대 정책의 수혜가 예상되는 기계업종의 체감경기가 특히 좋았고, 코로나 특수성과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바이오·소비재의 경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가상승의 영향으로 정제마진이 낮아진 ‘정유 석화(96)’를 비롯해 ‘조선·부품(85)’, ‘출판인쇄(81)’, ‘비금속 광물(80)’ 등의 업종은 부정 전망이 우세했다.
지역별로는 충남(116), 서울(114), 광주(113), 인천(108) 등 10곳이 기준치를 웃돌았다. 충남의 경우, ‘K-반도체’ 정책에 따른 투자 증가 예상이 호재로 작용했다.
강원(79), 전북(89), 세종(90) 등의 지역은 부정 전망이 많았다. 건설업이 많이 포진해있는 강원의 경우 최근 철근, 시멘트 등 주요 건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환율·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리스크 요인
상반기 목표실적 달성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 기업의 49.3%이 ‘상반기 목표치를 달성 혹은 초과할 것’이라고 답했다.
‘목표치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 50.7%였지만 코로나 이전의 응답률(60.6%)과 비교했을 때, 경기회복 기대감이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로는 기업의 채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율·원자재가 변동성’(67%)과 코로나 추가 확산 우려에 따른 ‘내수 침체’(45.3%), ‘최저임금, 기업 부담법안 등 정책 리스크’(38.3%)를 차례대로 꼽았다.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경제는 심리임을 감안할 때 거시지표와 통계가 말하는 회복세보다 산업현장 일선에서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회복이 더 고무적이고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보다 견조한 경기 회복세를 위해 원자재가·수출운임 변동성과 미국발 금리발작 가능성 등에 대해 정책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