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이 북미 이산가족 상봉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앞서 북한과의 외교적 대화 문을 열어놓겠다면서 새로운 대북 정책 방침을 발표했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북한을 향해 구체적인 의제를 던진 것과 같은 맥락에서 나온 발언으로 풀이된다.
7일(현지시간) 블링컨 장관은 미국 하원의회 세출위원회 산하 세출소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민주당 소속 그레이스 멩 하원의원으로부터 한국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북한 이산가족의 상봉 노력을 주문받았다.
이에 블링컨 장관은 "내가 약속할 수 있는 것은 이에 관해 전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는 점"이라면서 "이는 정말 가슴이 찢어지는 일로, 이 분들은 헤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이들의 운명조차 모르고 있다는 점을 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한국과 함께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의 이해관계를 이러한 노력에 반영할 수 있도록 확실히 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미국)가 북한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약속을 받을지 알지 못하기에, 이는 매우 도전적인 일"이라고 말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한국계 미국인인 멩 의원은 지난 2월 하원에서 미국 국무부에 북미 이산가족 상봉 논의를 요구하고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앞서 또 다른 한국계 하원의원인 영 김 공화당 의원 역시 지난 4월 북미 이산가족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으며, 민주당 소속 브래드 셔먼 하원의원은 지난달 미국 국적자의 북한 내 친척의 장례식 참석을 위해 북한 방문을 특별 허용하는 문제를 포함된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특히, 북미 이산가족 상봉안은 지난 2019년 발의돼 하원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했지만, 상원의 문턱을 넘지 못한 채 의회 임기 만료로 자동 폐기됐다.
앞서, 남북은 그간 20여 차례의 이산가족 대면 상봉 행사와 7차례의 영상 상봉 행사를 진행했지만,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산가족을 위한 상봉 행사는 지금껏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아울러 이날 블링컨 장관은 현재 공석 상태인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를 임명할 계획은 있지만, 현시점에서 구체적인 시간표는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같은 날 열린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블링컨 장관은 이에 대한 영 김 의원의 질의에 "(미국 국무부는) 해당 특사를 임명하기로 결정했지만, 이에 관한 구체적인 일정을 잡을 수는 없다"면서 "인선 시점을 알게 된다면 이를 공유하겠다"고 답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어 "알다시피 검증 과정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시간이 걸리며 고된 일이 되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 일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 모든 것을 적절하게 마칠 수 있도록 확실히 (처리)하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는 지난 2004년 미국 의회가 북한인권법을 제정하면서 신설한 직책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2017년 1월 이후부터 공석인 상태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간 수 차례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해왔으며, 대북인권특사 역시 특정 시점에 임명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7일(현지시간) 블링컨 장관은 미국 하원의회 세출위원회 산하 세출소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민주당 소속 그레이스 멩 하원의원으로부터 한국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북한 이산가족의 상봉 노력을 주문받았다.
이에 블링컨 장관은 "내가 약속할 수 있는 것은 이에 관해 전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는 점"이라면서 "이는 정말 가슴이 찢어지는 일로, 이 분들은 헤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이들의 운명조차 모르고 있다는 점을 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한국과 함께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의 이해관계를 이러한 노력에 반영할 수 있도록 확실히 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미국)가 북한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약속을 받을지 알지 못하기에, 이는 매우 도전적인 일"이라고 말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한국계 미국인인 멩 의원은 지난 2월 하원에서 미국 국무부에 북미 이산가족 상봉 논의를 요구하고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앞서 또 다른 한국계 하원의원인 영 김 공화당 의원 역시 지난 4월 북미 이산가족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으며, 민주당 소속 브래드 셔먼 하원의원은 지난달 미국 국적자의 북한 내 친척의 장례식 참석을 위해 북한 방문을 특별 허용하는 문제를 포함된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특히, 북미 이산가족 상봉안은 지난 2019년 발의돼 하원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했지만, 상원의 문턱을 넘지 못한 채 의회 임기 만료로 자동 폐기됐다.
앞서, 남북은 그간 20여 차례의 이산가족 대면 상봉 행사와 7차례의 영상 상봉 행사를 진행했지만,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산가족을 위한 상봉 행사는 지금껏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아울러 이날 블링컨 장관은 현재 공석 상태인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를 임명할 계획은 있지만, 현시점에서 구체적인 시간표는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같은 날 열린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블링컨 장관은 이에 대한 영 김 의원의 질의에 "(미국 국무부는) 해당 특사를 임명하기로 결정했지만, 이에 관한 구체적인 일정을 잡을 수는 없다"면서 "인선 시점을 알게 된다면 이를 공유하겠다"고 답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어 "알다시피 검증 과정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시간이 걸리며 고된 일이 되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 일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 모든 것을 적절하게 마칠 수 있도록 확실히 (처리)하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는 지난 2004년 미국 의회가 북한인권법을 제정하면서 신설한 직책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2017년 1월 이후부터 공석인 상태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간 수 차례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해왔으며, 대북인권특사 역시 특정 시점에 임명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