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멤버스 빅데이터 분석해보니…코로나 시대 세탁문화 급변

2021-06-07 08:54
  • 글자크기 설정

코로나 이후 집안일 1순위는 '빨래'

'환기 어려움'에 건조기 보유 급증

빨래 시 '향균 및 살균' 중요도 높아져

롯데멤버스가 리서치 플랫폼 라임 설문조사와 엘포인트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건조기·의류관리기 등 신(新)가전 보급으로 시작된 세탁문화 변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가속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롯데멤버스는 제휴사 대상 콘텐츠인 '2021 라임 리포트' 홈클리닝편 내용을 일부 공개했다. 엘포인트 빅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건조기 및 의류관리기 판매량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3.8%, 109.1% 증가했다. 코로나19 발생 후 전반적으로 소비가 위축되며 2020년 1분기에 각각 30.8%, 8.6% 감소했던 판매량이 반등한 것이다.

또한, 지난 4월 21일부터 28일까지 성인 남녀 1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라임 설문조사에서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집안일 중요도를 묻는 항목에 응답자 70.6%가 1순위로 '빨래'를 꼽았다. 그 다음 순으로 방·거실 청소(66.6%), 쓰레기·재활용 배출(58.4%), 설거지(57.5%), 화장실 청소(55.9%) 등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답했다.

[표=롯데멤버스 제공]

건조기 및 의류관리기 구매 만족도를 묻는 항목에는 건조기 보유 응답자 중 85.0%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12.2%였으며, 불만족 응답은 2.8%로 미미했다. 건조기 구매 이유로는 △건조 공간 부족(29.3%) △환기 어려움(24.3%) △향균 및 살균 필요(21.5%) 등 응답이 많았다.

의류관리기 구매 만족도 역시 90.2%로 매우 높았다.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0.9%에 불과했다. 의류관리기 구매 이유 1위는 '환기 어려움(24.1%)'이었으며, '빨래가 어려운 의류 관리(18.8%)', '향균 및 살균 필요(16.1%)' 응답률도 높았다.

건조기 및 의류관리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세탁세제 구매 행태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엘포인트 빅데이터를 통해 세탁세제 유형별 판매비중 변화를 살펴보니,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8년 1분기에는 전체 세탁세제 판매량 중 13.8%를 차지하던 분말세제 비중이 꾸준히 줄어 올 1분기 4.6%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일반 액체세제(-1.7%포인트)와 캡슐/시트세제(-5.6%포인트) 판매비중도 조금씩 감소했다.

반면, 올해 1분기 고농축 액체세제(22.5%)와 실내건조용 세제(9.8%), 향균세제(18.8%) 판매비중은 2018년 1분기 대비 각각 2.1%포인트, 9.1%포인트, 3.2%포인트씩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미세먼지 영향 등으로 환기가 어려워지면서 실내건조 기능이 포함된 세제 판매비중이 눈에 띄게 늘었다.

실제 라임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들이 빨래를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얼룩·때 제거(66.0%)'뿐 아니라 '향균 및 살균(58.7%)', '황사·미세먼지 제거(56.2%)' 등을 많이 꼽아 고농축·고기능성 세제의 인기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 1분기 전체 세탁세제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3.8% 감소했는데, 의류관리기 보급이 확대되고, 기존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는 고농축 세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근수 롯데멤버스 데이터사업부문장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개인 차원에서의 생활방역이 중요해지면서 한때 신(新)가전으로 불리던 의류관리기나 건조기가 필수가전으로 자리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며 "세탁세제도 고체보다는 액체를 선호하고, 향균, 실내건조 등 기능성을 많이 찾게 되는 등 가전시장에서 시작된 변화가 일용소비재 시장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라임 리포트는 롯데멤버스 제휴사에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제작·배포되는 보고서다. 실제 소비활동의 결과를 보여주는 유통 빅데이터와 소비자들의 의견이나 태도, 현상의 원인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인 스몰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다룬다. 엘포인트 빅데이터는 백화점, 마트, 슈퍼, 편의점, 아울렛, 면세점, 가전양판점 등 전 유통채널에 걸쳐 수집된다. 회원 행동 데이터뿐 아니라 결제, 상품, 채널·위치, 가맹점, 브랜드 데이터 등을 모두 포괄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