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뷰] 관광산업 경쟁력 높일 무기 '한국 관광 데이터랩'

2021-06-03 02:22
  • 글자크기 설정

한국 관광 데이터랩[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14세기 유럽에서는 '흑사병'으로 인구 감소가 급격히 이뤄졌다. 그 여파로 부(富)의 중심은 자연스레 농업 기반의 봉건 영주에서 도시 기반의 상인으로 옮겨갔다. 7세기가 지나 전 세계에 창궐하며 유례없는 위기를 안긴 '코로나19'는 또 한 번 세상의 변화를 앞당겼다. 하늘길이 막히면서 국경이 봉쇄되고, 사람들에게서 대면할 자유를 앗아갔지만, 디지털 전환을 앞당기는 계기가 됐다.

관광산업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방한 외국인 수와  해외로 떠나는 내국인 수가 동시에 고꾸라지는 등 큰 위기에 직면하자, 여행업계는 나름의 대안으로 랜선여행(온라인 여행)을 비롯해 가상체험 여행, 무착륙 관광 비행 등을 쏟아냈다. 

하지만 여행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지역을 찾는 여행자의 유형은 어떤지, 또 어느 지역에 여행객이 몰리는지 등 관광산업 전반의 현황을 아우르는 '데이터(자료)'는 여전히 부실했다. 월 단위나 연 단위로 집계해 발표하는 정도의 관광 통계라, 시의성 있는 관광산업 동향 파악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코로나19가 창궐하기 전인 2018년, 갓 취임한 안영배 한국관광공사 사장은 한국 관광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역점사업을 추진해야 할지 고민했다. 그리고 직원과 토론을 거쳐 '관광 빅데이터'를 구상했다. 

2019년 컨설팅을 마친 관광공사는 정부를 설득, 지난해 관광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예산 50억원을 확보했다. 그리고 올해 2월, '한국관광 데이터랩'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통신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의 여행 선호를 입력하면 맞춤형 여행지 추천뿐 아니라, 혼잡도 등 여행지 상태와 관광 관련 통계까지 관광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그동안 존재하지 않았던 관광 서비스다. 

기존 관광통계와 시장조사 데이터는 기본이다. 통신·카드·내비게이션 등 최신 민간 빅데이터를 아우르는 이 플랫폼에서는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여행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관광객 요구에 맞는 관광 홍보 마케팅을 추진할 수 있다. 지자체를 비롯해 민·관이 데이터를 토대로 협업할 가능성도 데이터랩이 키웠다.

개별 여행자 입장에서 봐도 한국 관광 데이터랩은 활용 가치가 높다. 여가 시간에 무엇을 할까, 가족과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할까. 일상에서 '선택'의 갈림길에 설 때마다 우리는 '검색'을 한다. 수많은 정보를 모아 분석해낸 값을 토대로 도출된 검색 결과는 신뢰를 얻을 만하지 않은가. 

관광 빅데이터 플랫폼을 운영 중인 일본이나 싱가포르와 비교해도 질적인 측면에서 뒤지지 않는다. 우리와 가장 비슷한 형태의 플랫폼을 운영하는 일본은 1~2년 전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민간 빅데이터 공급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낮아 시의성 있는 데이터 수집에 제약을 받는다. 반면 우리는 최소 나흘 전 통신 데이터를 활용해 최신 민간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기초지자체별 관광시장 특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우리 지역 관광 상황판' 서비스는 관광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잘 구성됐다. 이런 관광 특화 분석 시스템은 한국 관광 데이터랩만이 가진 강점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앞당긴 디지털 관광 시대에 발맞춰 탄생한 이 플랫폼에 실제로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민·관, 개인에 이르기까지 다수가 호응했다. 실제로 한국 관광 데이터랩이 출시된 지 100일(5월 27일)간 누적 가입자 수는 5720명을 기록했다. 당초 관광공사가 예상했던 회원 수 5000명을 웃도는 결과다. 

국내 대표 관광업종 다수는 물론, 전국 243개의 광역·기초지자체 중 75.7%에 달하는 184개소가 서비스에 가입했다. 전체 가입자의 54.9%인 3138명이 개인회원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한국 관광산업은 관광 데이터랩 출시 전과 후로 나뉠 것이다."

김영미 한국관광공사 관광빅데이터 실장은 이렇게 예측했다. 그리고 김 실장의 예측은 빠르게 실현 중이다. 출시 100일을 갓 넘긴 한국 관광 데이터랩은 이미 관광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관광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기반 '한국 관광 데이터랩'은 분명 우리나라 관광산업 경쟁력을 높일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다. 밥상은 차려졌다. 이제 잘 차려진 밥상을 꼭꼭 씹어 먹고 잘 소화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사진=기수정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