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업계가 지난달 월간 선박 수주량 1위 자리를 중국에 내줬다.
11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4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305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98척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이 164만CGT(53척)로 54%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119만CGT(34척)로 39%, 핀란드가 8만CGT(2척)로 3%의 점유율로 뒤를 이었다.
국가별 누계 수주량 순위도 중국이 선두를 차지했다. 1~4월까지 글로벌 누계 수주량은 1543만CGT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이 705만CGT(248척)로 4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뒤이어 우리나라가 682만CGT(171척)로 44%, 일본이 103만CGT(35척)로 7%를 기록했다.
조선업계는 중국 선사들이 자국 조선소에 발주를 넣으면서 수주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1~4월 동안 중국이 수주한 선박 248척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14척이 자국 물량으로 분석했다.
4월 말 기준 전 세계 수주잔량은 7795만CGT로 지난 3월 말 대비 95만CGT(1%) 늘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898만CGT(점유율 38%), 한국 2472만CGT(32%), 일본 837만CGT(11%)로 집계됐다.
올해 1~4월 선종별 누계 발주량을 살펴보면 대형 선박 발주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1만2000TEU급 이상의 컨테이너선의 경우 지난해 59만CGT(8척)에서 636만CGT(108척)로 978% 늘었다. 14만0000㎥ 이상의 대형 LNG선은 지난해 발주가 없었지만 올해는 51만CGT(6척)가 발주됐다. 초대형 유조선(VLCC)은 지난해 39만CGT(9척)에서 올해 116만CGT(27척)으로 197% 증가했다.
4월 기준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3월 보다 소폭 상승한 134포인트를 기록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컨테이너선과 초대형 유조선 등이 선가 상승을 이끌었다"며 "국내 조선사에 우호적인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11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4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305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98척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이 164만CGT(53척)로 54%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119만CGT(34척)로 39%, 핀란드가 8만CGT(2척)로 3%의 점유율로 뒤를 이었다.
국가별 누계 수주량 순위도 중국이 선두를 차지했다. 1~4월까지 글로벌 누계 수주량은 1543만CGT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이 705만CGT(248척)로 4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뒤이어 우리나라가 682만CGT(171척)로 44%, 일본이 103만CGT(35척)로 7%를 기록했다.
4월 말 기준 전 세계 수주잔량은 7795만CGT로 지난 3월 말 대비 95만CGT(1%) 늘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898만CGT(점유율 38%), 한국 2472만CGT(32%), 일본 837만CGT(11%)로 집계됐다.
올해 1~4월 선종별 누계 발주량을 살펴보면 대형 선박 발주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1만2000TEU급 이상의 컨테이너선의 경우 지난해 59만CGT(8척)에서 636만CGT(108척)로 978% 늘었다. 14만0000㎥ 이상의 대형 LNG선은 지난해 발주가 없었지만 올해는 51만CGT(6척)가 발주됐다. 초대형 유조선(VLCC)은 지난해 39만CGT(9척)에서 올해 116만CGT(27척)으로 197% 증가했다.
4월 기준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3월 보다 소폭 상승한 134포인트를 기록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컨테이너선과 초대형 유조선 등이 선가 상승을 이끌었다"며 "국내 조선사에 우호적인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