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PC 수요가 늘면서 메모리 출하량이 증가했고, 수율 개선으로 원가 경쟁력이 높아진 덕분이다. 반도체 시장 호황에 힘입어 올 2분기에도 호실적이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매출액 8조 4942억원, 영업이익 1조 324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8%, 영업이익은 66% 각각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99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늘었다.
D램은 모바일, PC, 그래픽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량이 늘었으며 전 분기 대비 제품 출하량이 4% 증가했다. 낸드플래시는 모바일에 들어가는 고용량 제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전 분기 대비 출하량이 21% 증가했다.
또 SK하이닉스는 주요 제품의 수율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원가 경쟁력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2분기 반도체 시장은 D램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낸드플래시 시황이 개선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PC용 D램 가격은 1분기에 비해 25%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맞춰 SK하이닉스는 D램은 2분기부터 12GB(기가바이트) 기반의 고용량 MCP(여러 종류의 칩을 묶어 단일 제품으로 만든 반도체)를 공급할 계획이다.
D램 주력인 10나노급 3세대(1z) 제품의 생산량을 늘리고, 극자외선(EUV)을 활용해 올해 안에 4세대(1a) 제품 양산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낸드플래시는 128단 제품의 판매 비중을 높이고, 연내 176단 제품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아울러 SK하이닉스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도 강화한다. 노종원 부사장(CFO)은 “앞으로도 친환경 기술을 적극 개발하는 등 RE100 수준을 높여가면서 반도체 산업이 ESG 모범 사례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