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임차인 구하기가 어려워진 데다 임대소득이 투명하게 공개돼 세금부담까지 늘어난 상황 등이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비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전국 19만10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17만6409건에 비해서는 많은 수준이다.
하지만 임대차 3법 통과(2020년 7월 30일) 전인 지난해 6월(24만6354건)과 7월(27만3015건), 지난해 월평균 거래량(20만5696건)에 비해서는 크게 줄었다.
서울의 비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020년 8월부터 2021년 3월까지 8개월간 평균 8572건으로, 지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7년 평균 9364건 대비 9.2% 줄었다.
같은 기간 인천은 3314건에서 3168건으로, 경기도는 9909건에서 9229건으로, 전국 기준 2만2637건에서 1만9483건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최근 이례적으로 높았던 비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도 주춤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기준 전국 연립·다세대 매매가격 상승률은 0.21%다. 지난 2월(0.24%)과 1월(0.26%)에 이어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도 지난 1월(0.41%)에서 2월(0.29%), 3월(0.21%)까지 낮아졌고, 경기도 역시 같은 기간 0.25%에서 0.32%로 올랐다가 0.27%까지 내려앉았다.
임대사업자들은 앞으로 비아파트 매물에 대한 인기가 더 하락할 수 있다며 우려하는 분위기다. 코로나19가 진정될 기미가 없는 상황에서 임대차3법이 도입된 배경에서다.
서울시 서대문구 명지대 인근 임대사업자인 A씨(54세)는 "학교가 쉬고 인근 상가도 활기가 없어서 공실이 많다"며 "공실이 많고 수익률이 맞춰지지 않아서 건물을 내놔도 살 사람이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최근 비아파트 매매가격이 오른 이유는 서울에 대규모 정비사업(2·4대책)을 한다고 해서 재개발 대상지가 오른 것"이라며 "임대사업용 매물은 인기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수원 임대사업자 B씨(46세)도 "코로나19가 더 길어지고 임대사업자 규제가 변하지 않는다면 결국 버티지 못하는 사람들부터 던지기 시작할 것"이라며 "수익률을 맞춰주려면 급매로 처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B씨는 "부가세 빼면 제품 가격이 저렴해지는 것처럼 그동안 임대소득이 투명하지 않았고, 과세가 제대로 안 됐기에 그만큼 월세가 저렴했던 것도 있다"며 "일단 지금은 상황상 싸게 (임대를) 내놔도 급매를 받은 새 임대인들은 곧장 월세를 올릴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