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한은은 전과 마찬가지로 “당분간 완화적 통화 정책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물가가 이대로 오른다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유인이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인플레 고개 드는데 4차 대유행 조짐에 ’운신 폭‘ 제한…고민 커진 통화당국
이주열 한은 총재는 15일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열린 간담회에서 “현재로서는 경기 회복세가 안착했다고 확신하기는 어렵다"며 "따라서 지금 단계에서 정책 기조의 전환을 고려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이 같은 불확실성을 더욱 키우고 있다. 국내 확진자 수는 이틀 연속 700명 안팎 수준을 기록하며 ‘4차 대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후 만약 거리두기 단계 격상 등의 조치가 시행되면 내수시장은 지금보다도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근래 일부 가시화된 경기 회복세도 아직까지 안착했다고 확신하기는 어렵다.
다만, 인플레 우려 등에 기인한 금리 인상 압력이 전에 비해 커진 것은 명확하다. 이 총재 역시 이날 “물가상승률이 높아진 데다 금융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서라도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할 수는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인플레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각종 물가지수는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16(2015년=100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두 달 연속 1%대의 오름세다. 작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기도 하다. 이외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도 전월 대비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 중이다.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국제유가도 빠르게 뛰고 있다. 지난 3월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64.44달러로 전월 대비 5.8% 상승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무려 91.2%나 올랐다. 곡물가격 급등세도 여전하다. 지난달 세계곡물지수는 123.6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5% 상승했다.
이때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카드가 ‘금리 인상’이다. 이를 통해 유동성을 흡수하면 일정 수준의 제어가 가능하다.
◆주요 신흥국 선제적 금리인상 통한 인플레 대응…우리나라도 갈수록 압력 커질 것
이미 금리 인상을 통한 인플레 대응에 나선 국가들도 있다. 터키, 브라질, 러시아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을 통한 각종 경제 방어에 나섰다. 이외 태국과 말레이시아, 인도 등도 조만간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외신 보도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금리 인상에 대한 한은의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고용지표도 일부 개선되며 이 같은 고민을 키우고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아직까진 연내 금리 인상계획이 없다지만, 올해 경제성장률이 작년보다 높아지고, 물가도 꾸준히 오르면 금리 인상에 대한 고민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금리 인상 시점이 늦어지면 다양한 부정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한은 금통위는 물가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금통위는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 전망 경로를 상회해 당분간 2% 내외 수준에서 등락하다 다소 낮아질 것”이라며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점차 1%대로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