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정부는 지역의 디지털전환 거점인 협업지원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지역 핵심산업과 연계한 디지털전환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성윤모 장관 주재로 부산 현대 글로벌 서비스 본사에서 '산업 디지털전환 현장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산업 디지털전환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세워 디지털 전환의 기본 방향을 잡은 데 이어 디지털 시스템 확산을 목표로 새로운 전략을 보탰다.
이 모델을 토대로 지난달 1∼17일 국내 10대 업종,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디지털전환과 관련해 준비 또는 도입 단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범용 소재·부품 산업은 디지털전환 수준이 높지 않았다. 전통 방식의 기업 간 거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미래차, 가전, 유통 등 대기업이 선도하는 고객 서비스 접점 분야는 디지털전환을 통한 혁신이 진행 중이었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디지털전환 투자가 저조했다. 디지털전환 컨설팅이나 기술 확보, 기업 간 협업 체계 부족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탓이다.
정부는 디지털전환이 일부 산업에 집중되지 않고 밸류체인 전체에 확산하도록 '디지털 빅-푸시(BIG-PUSH)' 전략을 수립했다. 오는 2025년까지 업종 평균 디지털전환 수준을 정착 단계 이상, 선도기업 30%는 확산단계 이상으로 목표로 잡았다.
이를 위해 '산업 디지털전환 위원회'를 발족해 업종·분야별 디지털전환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를 3년마다 하고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기로 했다. 또 탄소중립 등 업종별 당면 과제 해결과 시장 동향, 글로벌 경쟁력 등을 고려한 업종별 디지털전환 추진 전략을 올해 시리즈로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능형 전기로 시스템(철강), 스마트선박 시스템(조선), 인공지능 진단 의료기기(바이오) 등 업종별로 10대 대표 사업(DX 플래그십)을 추진한다. 기업이 체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벤치마킹 모델사업 30여개(DX 한걸음)를 제시하고 현장 실습형 사업(미니 DX)도 연간 150개 추진할 방침이다.
기업의 디지털전환 단계별 지원 시스템도 마련한다.
업종 내 혹은 업종 간 공통과제 해결을 위한 산업데이터 플랫폼을 현재 5개에서 2025년까지 50개로 늘린다. 중견기업을 위한 '중견기업 디지털 혁신센터'를 중견기업연합회 내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역의 디지털 전환 지원 거점 마련한다. 현재 경기도에 위치한 1개의 협업지원센터를 2023년까지 권역별 5개소로 늘린다. 이를 통해 지역 핵심산업과 연계한 디지털전환 클러스터를 조성할 방침이다. 인공지능 실증 집적단지, 스마트그린산단 DX센터와 같은 디지털전환 특화단지도 운영한다. 아울러 민간 수요를 기반으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도 구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