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 최고 수준의 5G+ 융합생태계 조성을 위해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를 발족했다고 24일 밝혔다.
정책협의체는 올해를 5G+ 융합생태계 조성 원년으로 선언한 2021년도 5G+ 추진계획에 따라 5G 산업생태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구성한 것이다.
정책협의체는 산업생태계 정책협의회 이외에 5개의 5G 핵심서비스(스마트공장·실감콘텐츠·디지털 헬스케어·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5G 망을 포함해 7개로 운영될 예정이다.
5G+ 생태계 구성 요소인 장비, 디바이스, 소프트웨어(SW), 보안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포괄적 생태계 형성을 위해 중·장기 정책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책협의체의 구성·운영 방안과 추진목표에 대해 논의했다. 구성원들은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가 집중적으로 검토할 단기적과제, 중·장기적과제를 선정했다.
특히 디지털 핵심 기술 관련한 국제공동연구, 글로벌 사실표준화 대응, 글로벌 시험·인증 등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과 5G 관련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자유토론 시간에는 연구개발(R&D), 제도개선 등 산업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필요한 애로사항 해결 방안, 기업 간 거래(B2B) 단말기, 5G 보안 등 관련 실증사업의 본 사업 전환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이승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는 관계부처, 전문기관, 민간 영역이 경계 없이 협력하는 뜻깊은 시도”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5G 융합생태계를 조기에 형성하겠다”고 밝혔다.
정책협의체는 올해를 5G+ 융합생태계 조성 원년으로 선언한 2021년도 5G+ 추진계획에 따라 5G 산업생태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구성한 것이다.
정책협의체는 산업생태계 정책협의회 이외에 5개의 5G 핵심서비스(스마트공장·실감콘텐츠·디지털 헬스케어·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5G 망을 포함해 7개로 운영될 예정이다.
5G+ 생태계 구성 요소인 장비, 디바이스, 소프트웨어(SW), 보안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포괄적 생태계 형성을 위해 중·장기 정책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특히 디지털 핵심 기술 관련한 국제공동연구, 글로벌 사실표준화 대응, 글로벌 시험·인증 등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과 5G 관련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자유토론 시간에는 연구개발(R&D), 제도개선 등 산업계 글로벌 선도를 위해 필요한 애로사항 해결 방안, 기업 간 거래(B2B) 단말기, 5G 보안 등 관련 실증사업의 본 사업 전환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이승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5G+ 산업생태계 정책협의체는 관계부처, 전문기관, 민간 영역이 경계 없이 협력하는 뜻깊은 시도”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5G 융합생태계를 조기에 형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