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판매한 '라임 펀드'에 가입했으나 손실이 확정되지 않은 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손실액의 65%를 돌려받을 전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일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우리은행 라임 펀드 투자자들에게 적용되는 배상 비율은 평균 65%였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라임 펀드 투자자들은 기본 배상비율(55%)을 기준으로 투자경험 등에 따라 가감 조정된 배상비율(40∼80%)을 적용받는다. 우리은행의 라임펀드 미상환액은 2703억원(1348계좌)이다. 금감원에 접수한 분쟁조정 민원은 182건이다.
우리은행의 평균 배상비율은 앞서 분쟁조정 심판대에 오른 KB증권(평균 55%)보다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은행보다 증권사 고객이 공격 투자형 성향이 많다는 점에서 은행의 평균 배상비율이 증권사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은행과 함께 분쟁조정 결과를 받은 기업은행의은 기본 배상비율이 50%였다. 기업은행의 미상환액은 286억원(분쟁 조정 민원 20건)이다. 기업은행의 평균 배상비율 시뮬레이션은 하지 않았으나, 평균 55∼60%의 배상이 이뤄질 것으로 금감원은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