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가 사회적 합의 파기를 이유로 29일부터 총파업을 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우체국택배 소속 노조원들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체국택배 노조원이 파업에 들어갈 경우 우체국에 물류를 기대는 도서지역은 설에 제대로 물건을 받지 못하는 '택배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7일 물류 업계에 따르면 이번 택배노조 파업에서 민간택배사 조합원은 총파업에 들어가는 반면, 우체국택배 조합원은 우정사업본부가 개인별 분류작업을 해놓지 않으면 배송을 하지 않는 부분 파업을 할 계획이다.
업계에선 우체국택배 노조원들이 파업에 앞서 우본에 타협안을 제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본은 27일 오후 우체국택배 노조의 요구가 타당한지 검토하기 위한 회의에 들어갔다. 수용 여부는 회의가 끝나는 이날 밤 공개될 예정이다.
한편, 택배노조는 "지난 20~21일 진행한 총파업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전체 조합원의 97%가 파업에 찬성했다"며 "택배사와 사회적 합의 이후에도 택배 현장이 달라지지 않은 만큼 29일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노조는 "택배사가 노동조합을 인정하고, 분류작업도 합의 대신 택배사와 노조 대표가 만나 노사협정서를 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