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재구속] ‘총수 부재’ 또 직면한 삼성...‘비상경영’ 가동 불가피

2021-01-19 09:05
  • 글자크기 설정

조만간 긴급 사장단 회의로 추후 경영 대응방안 모색

주요 결정 ‘옥중 경영’ 전망 속 구치소 방역 대책 ‘변수’

준법위, 기능 유지할 전망...21일 정기회의 개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으로 또 다시 ‘총수 부재’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받아든 삼성은 비상경영 체제 가동이 불가피하게 됐다.

19일 삼성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 경영진은 조만간 사별, 또는 전자 계열사 중심의 긴급 사장단 회의를 통해 ‘총수 부재’에 대응하기 위한 묘책을 논의할 전망이다.

삼성 측은 이 부회장이 구속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지만 동시에 어떤 방식으로 이 부회장의 ‘옥중 경영’의 그림을 그려야 하는지 고민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은 2017년에 구속됐을 때도 직접 중요한 현안을 보고 받고 일부 의사결정에도 관여한 것으로 전해지는 만큼 이번에도 옥중 경영을 통해 경영 공백을 최소화할 전망이다.

변수는 코로나19로 인해 이 부회장의 접견이나 면회에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결국 이 부회장이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되 나머지 부분에서는 각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퍼포먼스를 발휘하며 경영 공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비상경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는 이 부회장의 구속에도 그 기능은 종전처럼 유지될 전망이다.

이 부회장이 지난해 5월 대국민 사과에서 “저와 관련한 재판이 끝나더라도 준법위는 독립적인 위치에서 중단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준감위는 오는 21일과 26일로 각각 예정된 정기회의, 7개 계열사 CEO와의 모임은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21일 회의에서는 삼성전자 계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의 준법감시 강화 방안도 논의된다.

사업지원TF는 삼성이 2017년 초 그룹 해체의 상징으로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미전실)’을 없앤 뒤 신설한 조직이다.

특검은 재판 과정에서 미전실의 존재와 역할에 대해 문제제기를 지속했으며 파기환송심 재판부도 18일 “삼성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조직에 대한 준법감시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돼 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삼성이 사업지원TF의 준법 감시를 강화하면서 현재 40명 안팎 규모인 조직을 축소하거나 계열사 관련 업무를 최소화하는 등 기능을 재정립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