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자료=중소기업중앙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30/20201230112536516439.jpg)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4일부터 21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1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이처럼 밝혔다.
강지용 중기중앙회 조사통계부장은 "최근 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의 여파로 10월 이후 3개월 연속 유지해온 70대 지수(10월(71.2)→ 11월(74.0)→12월(72.0))가 다시 하락 전환했다"며 "내수위축과 대내외 불확실성 등이 중소기업의 체감경기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제조업 1월 경기전망은 75.3으로 전월대비 3.1p 하락했고, 비제조업은 59.6으로 전월대비 9.1p 떨어졌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66.8)과 서비스업(58.2)이 전월 대비 각각 8.2p, 9.2p 하락했다. 서비스업에서는 소상공인 주력업종인 숙박 및 음식점업(53.8→28.1) 등을 중심으로 10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전산업 항목별 전망을 보면 내수판매(72.1→64.3), 수출(81.4→78.9), 영업이익(70.2→62.4), 자금사정(70.1→66.2) 전망이 전월보다 하락했다. 역계열 추세인 고용(97.7→100.1) 전망은 상승해 경기 전반적으로 다소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1월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재고·고용전망(역계열)을 제외한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원자재 전망은 물론 역계열인 설비전망 모두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12월 중소기업의 주요 애로요인으로는 내수부진(70.2%)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40.1%) △업체간 과당경쟁(35.4%) △판매대금 회수지연(21.9%)이 뒤를 이었다.
11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0.2%로, 전월대비 0.7%p 상승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소기업은 전월대비 1.2%p 상승한 66.4%, 중기업은 전월대비 0.3%p 상승한 73.9%였다. 기업유형별로 보면, 일반제조업은 전월대비 1.2%p 상승한 69.6%, 혁신형 제조업은 전월대비 2.1%p 상승한 74.6%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