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로 내년 1월 경기전망 3개월 만에 하락 전환

2020-12-30 12:00
  • 글자크기 설정

내년 1월 경기전망지수 65.0...전월대비 7.0p 하락

소상공인 주력업종 '숙박및음식점업' 25.7p 급락

이미지 확대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자료=중소기업중앙회]

최근 연이은 코로나19 확산세로 경기전망이 3개월 만에 하락했다. 내년 1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65.0으로 한달 사이 7.0포인트(p) 떨어졌다. 특히 건설업과 서비스업종에서 하락폭이 컸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4일부터 21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1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이처럼 밝혔다.

강지용 중기중앙회 조사통계부장은 "최근 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의 여파로 10월 이후 3개월 연속 유지해온 70대 지수(10월(71.2)→ 11월(74.0)→12월(72.0))가 다시 하락 전환했다"며 "내수위축과 대내외 불확실성 등이 중소기업의 체감경기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제조업 1월 경기전망은 75.3으로 전월대비 3.1p 하락했고, 비제조업은 59.6으로 전월대비 9.1p 떨어졌다. 

제조업에서는 △고무제품및플라스틱제품(70.5→78.0) △의료용물질및의약품(86.2→91.8)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및통신장비(80.3→84.4) 등을 중심으로 6개 업종에서 상승했다. 반면,△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85.0→72.6) △1차금속(85.4→74.1) △의료, 정밀, 광학기기및시계(85.7→76.2) 등을 중심으로 16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66.8)과 서비스업(58.2)이 전월 대비 각각 8.2p, 9.2p 하락했다. 서비스업에서는 소상공인 주력업종인 숙박 및 음식점업(53.8→28.1) 등을 중심으로 10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전산업 항목별 전망을 보면 내수판매(72.1→64.3), 수출(81.4→78.9), 영업이익(70.2→62.4), 자금사정(70.1→66.2) 전망이 전월보다 하락했다. 역계열 추세인 고용(97.7→100.1) 전망은 상승해 경기 전반적으로 다소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1월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재고·고용전망(역계열)을 제외한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원자재 전망은 물론 역계열인 설비전망 모두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12월 중소기업의 주요 애로요인으로는 내수부진(70.2%)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40.1%) △업체간 과당경쟁(35.4%) △판매대금 회수지연(21.9%)이 뒤를 이었다. 

11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0.2%로, 전월대비 0.7%p 상승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소기업은 전월대비 1.2%p 상승한 66.4%, 중기업은 전월대비 0.3%p 상승한 73.9%였다. 기업유형별로 보면, 일반제조업은 전월대비 1.2%p 상승한 69.6%, 혁신형 제조업은 전월대비 2.1%p 상승한 74.6%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
code:038G
device:
close_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