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황용석 건국대 교수가 26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제2회 지속가능한 미디어 생태계 콘퍼런스 2020'에서 '공유가치 창출 모색을 위한 IPTV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노경조 기자]
"인터넷TV(IPTV)는 '중독성 있는 야식'이다."
미디어 시장에서 IPTV의 영향력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여기에는 매체 문해력(리터러시)을 높이기 위한 사업자들의 노력도 수반된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IPTV 이용자 1404명 대상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 중 90.6%에 해당하는 1272명이 향후 1~3년간 IPTV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겠다고 응답했다. IPTV 해지 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할 가능성은 25.8%에 그쳤다.
IPTV 이용 만족도와 관련해선 고객서비스(83.8%), 채널 다양성(76%), VOD 다양성·서비스(67.5%)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이용요금 할인(52.4%), 월 이용요금(50.1%), 가입 프로모션(48.2%), 위약금(30.8%), VOD 광고(25.9%)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사업자에 대한 평판은 IPTV 방송서비스 혁신(68.9%)과 경제발전 기여(63.7%)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정경쟁(53.6%), 사회안전망 구축(52.6%)에 대해선 '보통' 수준으로 인식했다. 지역사회 발전에 대한 기여(43.4%)와 사회공헌(40.2%)은 이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향후 IPTV 확충 서비스로는 재난정보(92.4%), 평생교육 콘텐츠(88.7%)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IPTV에 기대하는 공적 역할과 사회적 가치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서비스 개선 요구 사항으로는 검색 편의성 제고(93.3%), 조기화면 단순화(88.8%), OTT 연동(88.7%), 모바일 연동 시청(87.7%), 정보검색 시 풍부한 정보 제공(87.6%), 실버리모콘 제공(86.6%), 개인별 선호채널 설정 기능 제공(80.3%) 등 모든 항목이 80% 이상의 비율을 차지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들은 IPTV가 필수적이진 않지만 '맛있는 간식' 등에 비유하며 가정 내 '유능한 집사' 역할을 해주길 기대했다. 일부 응답자는 유료VOD 서비스 등과 관련해 상업적 이미지가 느껴진다고도 했다.
황 교수는 "IPTV 사업자에 대한 가치 평가, 미디어 플랫폼으로서의 특징이 부재한 상황"이라며 "IPTV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매체 문해력을 끌어올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코로나19에 따른 정부의 방역지침 속 참석인원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진행됐다.
유정아 IPTV협회장은 "지난해는 지속가능한 미디어 생태계를 위해 업계가 상생의 필요성에 공감했다면, 올해는 우리가 먼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지혜를 모았다“며 "코로나19 시대를 지나면서 미디어와 소통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이 더욱 중요해지는 가운데 미디어 업계 모든 구성원이 통합적인 논의를 이끌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