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중요한 건 본인의 재무상황과 조건에 맞춘 ‘대출 계획’ 수립이다.
자신의 신용등급을 확인한 뒤, 적절한 금융기관을 선택하는 편이 좋다. 만약 신용등급 등이 안정된 상태인데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2~3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는다면 그 자체로 향후 신용 관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리 부담도 1금융기관에서 받았을 때보다 크게 높아진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사회초년생들이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가 제 2~3금융기관을 통한 대출”이라며 “단순히 진행 과정이 편리하단 이유로 조건이 충분한대도 대출 금융권을 낮추면 나중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다음으로 고민해야 할 건 '상환 방식‘이다. 먼저 본인이 매달 부담할 수 있는 상환 금액을 현실적으로 살펴보는 편이 좋다. 이 과정에서 Δ이직 등 일시적인 소득공백 발생 가능성 Δ월 소득 외 연간 기타소득 Δ연간 비정기 지출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대출에 앞서 안정적인 신용등급 관리는 필수다. 신용등급은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을 때 금리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등급 관리에 따라 연간 이자가 크게는 수백만원까지 줄어들고는 한다. 등급을 관리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재테크 수단인 셈이다.
신용등급 관리 시 연체는 절대 금물이다. 10만원 이상을 5영업일 이상 연체하면 신용평점 저하로 직결된다. 이는 최장 5년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납부하는 카드대금이나 통신비, 공공요금(도시가스·TV·전기 등) 등은 자동이체를 해놓는 게 좋다. 만약 연체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오래된 것부터 정리하는 편이 좋다. 금액은 큰 건부터 해결하는 게 현명하다. 통신비, 공공요금, 건강보험, 국민연금 역시 연체 시 등급관리에 악영향을 준다.
소비를 할 때는 현금보단 카드를 사용하는 게 현명하다. 체크카드도 일정금액 이상을 꾸준히 사용하면 신용카드와 같은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단순 등급 조회는 여러 번 반복돼도 무방하다. 과거에는 조회 사실만으로도 신용등급에 영향을 줬다. 그러나 2011년 10월부터는 조회 자체론 영향이 없도록 변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