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10/20201110090846590860.jpg)
정세균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3일 치러진 제46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것과 관련해 각 부처에 한국 경제와 주요 정책이 받을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
정 총리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6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향후 미국의 경제·통상 정책 등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우리나라에의 파급 효과 또한 작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우선 "지난 11월 3일 미국 대통령 선거가 있었다"면서 차기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바이든 후보와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부통령에 오른 카말라 해리스 상원의원에게 축하의 뜻을 전했다.
이어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무엇보다 양국 간 외교·안보 협력에 공백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한·미 간 여러 현안에서 마지막까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하고, 차기 행정부와도 긴밀히 소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중단 없이 추진해야겠다"고 힘줘 말했다.
정 총리는 또 내주 이어지는 중견기업 주간을 언급,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부처는 중견기업과 향후 중견기업으로 커 나갈 혁신형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특히 "한국형 뉴딜과 발맞춰 업종과 성장단계별로 필요한 맞춤형 대책을 정교하게 설계해주시기 바란다"며 "항아리형 경제로의 전환을 통해 지금의 위기를 넉넉히 이겨내고, '더불어 잘사는 경제'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끝으로 "국민 모두의 안전을 위해 대규모 집회를 자제해주시길 촉구한다"며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집회가 열릴 경우 방역을 철저히 관리하고, 불법행위에는 엄정 대응해줄 것을 주문했다.
정 총리는 "사회적 거리 두기 1단계로의 조정을 이제는 안심해도 된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며 "집회의 자유라는 권리 행사가 다른 사람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도 충분히 고려돼야 한다. 집회가 촉발할 수 있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우리 경제가 또 한 번 타격을 받아서는 안 되겠다"고 거듭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