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본입찰 흥행이 불확실해졌다. 두산인프라코어중국법인(DICC)의 우발부채 우려가 해소된 덕에 예비입찰 흥행에는 성공했으나, 다시 우발부채 부담이 더해지면서 인수 매력이 떨어진 탓이다. 업계에서는 주채권자인 산업은행의 자회사 KDB인베스트먼트(KDBI)의 인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재계와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두산인프라코어의 대주주인 두산중공업은 최근 예비입찰에 참여한 원매자들을 대상으로 DICC 우발부채 해결방안을 제시해달라고 요구했다. 예비입찰 직전 DICC 관련 모든 우발부채를 두산중공업이 떠안겠다고 밝힌 입장을 바꾼 것이다.
현재 두산인프라코어는 DICC 관련 재무적투자자(FI)들과 7196억원 규모의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1심에서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승소했으나 2심에서는 FI가 승소했다. 이르면 연내 마무리될 3심에서 패소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패소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는 FI에 지연이자를 포함해 1조 안팎의 금액을 물어줘야 한다.
두산중공업은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계획을 밝힌 이후 DICC 관련 채무를 부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9월 말 예비입찰을 앞두고 흥행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DICC 관련 채무 전부를 부담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결과 KDBI·현대중공업지주 컨소시엄과 GS건설·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 등을 포함해 6곳이 참여해 일단 두산인프라코어 예비입찰 흥행을 성공시켰다.
그러나 두산중공업은 앞서 선언을 실제로 이행하다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기존 주주들의 반발을 넘어서는 것부터 문제다.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인프라코어 지분율은 36.07%로, 이를 넘어서는 부담을 질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 이사회도 자칫 배임 문제에 휘말릴 수 있어 결정이 쉽지 않다.
DICC 소송의 상대방인 FI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도 골칫거리다. 채권자가 되는 FI의 동의를 얻지 못하면 두산인프라코어 몫인 우발부채를 두산중공업으로 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현재 두산인프라코어는 우발부채를 감당할 현금성 자산이 존재하는 반면 두산중공업은 유동성 위기로 자구안을 진행하고 있다. FI 측에서 두산중공업에 대한 채무 이전을 동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이 같은 상황이 겹치면서 원매자 혹은 원매자가 인수할 두산인프라코어에 대규모 우발부채가 남게 됐다는 점이 문제다. 원매자는 1조원에 가까운 돈을 투자해 두산인프라코어를 사들인 직후 다시 1조원이나 되는 자금을 FI에 줘야하는 위험을 떠안을 수 있다.
이에 일각에선 KDBI·한진중공업지주 컨소시엄으로 이번 인수전의 무게추가 급격히 기울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매도자인 두산중공업의 주채권자이자 KDBI의 모회사인 산업은행이 다른 원매자가 약속할 수 없는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IB업계 관계자는 "결국 DICC 우발부채를 두산인프라코어나 원매자가 대부분 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확정된다면 다른 원매자는 급격히 흥미를 잃게 될 것"이라며 "예비입찰과 달리 본입찰에서는 흥행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8일 재계와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두산인프라코어의 대주주인 두산중공업은 최근 예비입찰에 참여한 원매자들을 대상으로 DICC 우발부채 해결방안을 제시해달라고 요구했다. 예비입찰 직전 DICC 관련 모든 우발부채를 두산중공업이 떠안겠다고 밝힌 입장을 바꾼 것이다.
현재 두산인프라코어는 DICC 관련 재무적투자자(FI)들과 7196억원 규모의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1심에서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승소했으나 2심에서는 FI가 승소했다. 이르면 연내 마무리될 3심에서 패소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패소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는 FI에 지연이자를 포함해 1조 안팎의 금액을 물어줘야 한다.
두산중공업은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계획을 밝힌 이후 DICC 관련 채무를 부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9월 말 예비입찰을 앞두고 흥행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DICC 관련 채무 전부를 부담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결과 KDBI·현대중공업지주 컨소시엄과 GS건설·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 등을 포함해 6곳이 참여해 일단 두산인프라코어 예비입찰 흥행을 성공시켰다.
DICC 소송의 상대방인 FI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도 골칫거리다. 채권자가 되는 FI의 동의를 얻지 못하면 두산인프라코어 몫인 우발부채를 두산중공업으로 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현재 두산인프라코어는 우발부채를 감당할 현금성 자산이 존재하는 반면 두산중공업은 유동성 위기로 자구안을 진행하고 있다. FI 측에서 두산중공업에 대한 채무 이전을 동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이 같은 상황이 겹치면서 원매자 혹은 원매자가 인수할 두산인프라코어에 대규모 우발부채가 남게 됐다는 점이 문제다. 원매자는 1조원에 가까운 돈을 투자해 두산인프라코어를 사들인 직후 다시 1조원이나 되는 자금을 FI에 줘야하는 위험을 떠안을 수 있다.
이에 일각에선 KDBI·한진중공업지주 컨소시엄으로 이번 인수전의 무게추가 급격히 기울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매도자인 두산중공업의 주채권자이자 KDBI의 모회사인 산업은행이 다른 원매자가 약속할 수 없는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IB업계 관계자는 "결국 DICC 우발부채를 두산인프라코어나 원매자가 대부분 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확정된다면 다른 원매자는 급격히 흥미를 잃게 될 것"이라며 "예비입찰과 달리 본입찰에서는 흥행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