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별세소식이 25일 전해지자, 주요 외신들은 그의 생애와 삼성에 대해 조망한 기사를 잇달아 내보냈다.
블룸버그통신과 AP통신, 로이터통신, AFP통신 교도통신 등은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을 속보로 전했다.
블룸버그는 이 회장을 "삼성전자를 바꾼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카피캣(모방하는 자)이던 삼성전자를 세계 최대 스마트폰, TV, 반도체 생산기업으로 변신시킨 사람"이라고 덧붙였다.
AP통신은 이 회장에 대해 "소규모 TV 제조사를 글로벌 가전제품 거인으로 변화시켰다"며 "이 회장이 리더십을 발휘한 약 30년간 삼성전자는 글로벌 브랜드로 부상했으며 전 세계 최대의 스마트폰, TV, 메모리칩 제조사가 됐다"고 평가했다.
로이터통신은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이 회장의 어록을 소개하며, "그는 소니 등 라이벌들에 도전하기 위해 혁신을 촉진하려고 노력했다"고 전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이 회장은 삼성을 스마트폰, TV, 컴퓨터 칩 거인으로 키웠다"며 "삼성전자는 오늘날 한국 경제의 주춧돌이며 전 세계에서 연구개발(R&D) 투자지출이 가장 큰 기업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이어 "그의 재임 동안 점차 다른 전문 경영인들이 그룹에서 더 큰 책임을 지게 됐지만, 이 회장은 삼성의 '큰 사상가'(big thinker)로 남아 거시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신문은 이 회장이 두 차례 기소됐다가 사면된 점을 언급하며 "그의 재임은 한국에서 '재벌'로 불리는 가족 소유 거대기업들이 자신들의 영향력을 유지하는, 때때로 미심쩍은(dubious) 방식들을 보여주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프랑스 AFP통신은 "삼성전자를 글로벌 테크 거인으로 변모시킨 이 회장은 2014년 심장마비로 병석에 눕게 됐다"며 "은둔형 생활방식으로 유명한 이 회장의 구체적인 상태에 관해선 공개된 바가 적어, 그의 마지막 날들 역시 미스터리에 쌓여 있었다"고 전했다.
중국과 일본 언론들도 앞다퉈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을 긴급 보도했다. 중국 관영매체 신화통신은 "이 회장이 서울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며 "이 회장이 2014년 심장마비로 입원했고 이후 투병을 해왔다"고 보도했다.
중국 해외망과 환구망도 "이 회장이 2014년 5월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자택에서 쓰러진 뒤 6년 넘게 투병하다 별세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은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에서도 주요 화제에 올랐다.
일본 최대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은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을 전하며, 생전 일본과의 인연에 주목했다. 요미우리는 "이 회장이 소년 시절 일본에서 산 경험이 있고, 1965년 일본의 사립 명문인 와세다 대학을 졸업했다"고 전했다.
또 "이 회장은 마쓰시타 전기 창업자인 마쓰시타 고노스케(1894~1989)를 존경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일본 기업의 품질개선과 경영수법에 정통했다"고 주장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을 속보로 전한 뒤 "한국 최대 재벌 삼성그룹을 창업가 2대 회장으로서 잘 이끌었다"며 "그룹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는 반도체와 휴대전화 사업을 기둥으로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다"고 평가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1987년부터 삼성그룹 회장에 취임해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을 앞세워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웠다"면서 "삼성의 경영은 장남인 이재용 부회장에게 실질적으로 이양됐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과 AP통신, 로이터통신, AFP통신 교도통신 등은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을 속보로 전했다.
블룸버그는 이 회장을 "삼성전자를 바꾼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카피캣(모방하는 자)이던 삼성전자를 세계 최대 스마트폰, TV, 반도체 생산기업으로 변신시킨 사람"이라고 덧붙였다.
AP통신은 이 회장에 대해 "소규모 TV 제조사를 글로벌 가전제품 거인으로 변화시켰다"며 "이 회장이 리더십을 발휘한 약 30년간 삼성전자는 글로벌 브랜드로 부상했으며 전 세계 최대의 스마트폰, TV, 메모리칩 제조사가 됐다"고 평가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이 회장은 삼성을 스마트폰, TV, 컴퓨터 칩 거인으로 키웠다"며 "삼성전자는 오늘날 한국 경제의 주춧돌이며 전 세계에서 연구개발(R&D) 투자지출이 가장 큰 기업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이어 "그의 재임 동안 점차 다른 전문 경영인들이 그룹에서 더 큰 책임을 지게 됐지만, 이 회장은 삼성의 '큰 사상가'(big thinker)로 남아 거시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신문은 이 회장이 두 차례 기소됐다가 사면된 점을 언급하며 "그의 재임은 한국에서 '재벌'로 불리는 가족 소유 거대기업들이 자신들의 영향력을 유지하는, 때때로 미심쩍은(dubious) 방식들을 보여주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프랑스 AFP통신은 "삼성전자를 글로벌 테크 거인으로 변모시킨 이 회장은 2014년 심장마비로 병석에 눕게 됐다"며 "은둔형 생활방식으로 유명한 이 회장의 구체적인 상태에 관해선 공개된 바가 적어, 그의 마지막 날들 역시 미스터리에 쌓여 있었다"고 전했다.
중국 해외망과 환구망도 "이 회장이 2014년 5월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자택에서 쓰러진 뒤 6년 넘게 투병하다 별세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은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에서도 주요 화제에 올랐다.
일본 최대 일간지인 요미우리신문은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을 전하며, 생전 일본과의 인연에 주목했다. 요미우리는 "이 회장이 소년 시절 일본에서 산 경험이 있고, 1965년 일본의 사립 명문인 와세다 대학을 졸업했다"고 전했다.
또 "이 회장은 마쓰시타 전기 창업자인 마쓰시타 고노스케(1894~1989)를 존경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일본 기업의 품질개선과 경영수법에 정통했다"고 주장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 회장의 별세 소식을 속보로 전한 뒤 "한국 최대 재벌 삼성그룹을 창업가 2대 회장으로서 잘 이끌었다"며 "그룹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는 반도체와 휴대전화 사업을 기둥으로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다"고 평가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1987년부터 삼성그룹 회장에 취임해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을 앞세워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웠다"면서 "삼성의 경영은 장남인 이재용 부회장에게 실질적으로 이양됐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