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전부터 조정대상지역에서 빠진다고 알려진 파주로 문의를 하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늘어났어요. 부동산 대책이 발표됐으니 이쪽으로 '갭투자 원정'에 나서는 투자자들이 더 늘어날 겁니다."(파주 A부동산 공인중개사)
6·17 부동산대책이 나오자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다음 '풍선효과'가 기대되는 지역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파주, 김포 등 수도권은 물론 충청 이남으로까지 번지는 모양세다. 고강도 규제에도 전국적으로 움직이는 투자수요를 잡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정부가 이 같은 고강도 대책을 내놓는 것은 부동산 시장의 풍선효과를 근절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튀는 현상이 반복되며 사실상 전국이 집값으로 들썩이는 역설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벌써 또 다른 비규제지역을 찾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부산, 경기 파주·김포, 충남 천안 등이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에 언급된 지역은 도심을 중심으로 주거환경이 잘 갖춰져 있고 교통이 개선될 여지가 있는 지역이다. 수요가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이 때문에 이번 대책 역시 풍선효과를 낳게 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장의 유동성이 워낙 풍부한 데다 이미 웬만한 대책에 내성이 생긴 상황에서 규제 지역을 확대하고 대출을 묶을 경우 또 다른 비규제지역의 집값만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강남 집값을 잡기 위한 지난해 12·16 대책 이후, 수원의 집값이 크게 뛰었다. 올 1월 수원 영통구와 권선구, 팔달구가 3% 이상 급등했다. 2월에는 상황이 더욱 악화돼 권선구가 8.03% 올라 전국 1위를 기록했다. 팔달구(7.38%), 영통구(6.72%)도 뒤를 이었다.
수원 집값이 급등하자 정부는 조정대상지역 확대를 골자로 한 2·20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수원 인근 지역의 집값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군포가 3월 한 달 동안 5.28% 올라 전국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오산(5.17%)과 구리(4.30%)가 뒤를 이었다.
풍선효과는 주변으로 번졌다. 4월에는 안산 단원구(1.67%)와 상록구(1.59%)가 1·2위를 차지했다. 구리시와 인천 남동, 안양 만안구가 그 뒤를 이었다. 이후 충북까지 집값이 번져 5월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충북 청주였다.
양지영R&C연구소의 양지영 소장은 "시장의 기대감이 꺾이지 않는 이상 투자수요는 또 다른 규제 구멍을 찾을 수밖에 없다"며 "투기과열지구보다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가 덜한 조정대상지역 내에서 9억원 이하 아파트는 또다른 매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