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다시 부는 그린 뉴딜 바람···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의 새로운 돌파구"
미국 칼럼니스트 미셸 골드버그는 지난 3일 뉴욕타임스(NYT) 기고문에서 "치솟는 실업률 탓에 이전보다 많은 미국인이 뉴딜 정책을 지지하기 시작했다"면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린 뉴딜을 지지하는 사람의 비율은 지난해 5월 48%에서 코로나19가 미국에 퍼지기 시작했던 3월 59%까지 올랐다"고 지적했다.
그린 뉴딜은 코로나19 이전 미국 민주당의 주요 정책 중 하나였다. 지난해 2월 7일 민주당 하원의원인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즈와 민주당 상원의원 에드워드 마키는 ‘그린 뉴딜을 실행하기 위한 연방정부의 의무’를 정하는 결의안을 하원에 제출했다.
당시 1조 달러 이상을 인프라에 투자해 10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자는 목표를 내세웠다. 또 건강보험의 전국적 적용, 대학무상등록금, 기본소득, 생활보장 최저임금 등 포괄적인 사회보장을 확보하면서 과감한 재정적자 정책을 펴자고 주장했다.
콜린 오마라 국립야생생물연합 대표는 최근 NYT 기고문에서 "21세기 버전의 시민보전부대(C.C.C)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C.C.C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만든 집단이다. 이들은 18세부터 25세의 젊은 남성들로 이뤄졌다. 이들이 심은 나무는 30억 그루에 달하며 루스벨트의 나무군대로 불렸다.
◆한국 정부 뉴딜의 중요 축으로 떠올라··· "우리가 가야 할 분명한 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일 브리핑을 통해 "그린 뉴딜은 우리가 가야 할 길임이 분명하다"며 "국제사회, 시민사회의 요구를 고려해도 (그린 뉴딜 필요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당·정·청 비공개회의에서도 그린 뉴딜 추진 방안이 본격 논의되고 있다. 여당인 민주당의 경우 4·15 총선 공약에도 탄소 제로 사회 그린 뉴딜 실현을 이미 선언한 바 있다.
해당 공약집에서 민주당은 탄소 제로 사회 실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친환경 산업혁신과 녹색일자리 창출을 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한국형 뉴딜 태스크포스(TF)의 ‘그린 뉴딜을 통한 기후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 보고서에서 제안한 그린 뉴딜은 발전·산업·건물·수송·지역거점·기타 등 6개 분야 23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태양광(1500억원)·풍력(1조원) 설비 확대와 재생에너지 전력망 인프라 건설(1조원), 사업장 에너지 진단 및 자금 지원(1조1200억원), 그린스쿨 프로젝트(5000억원), 저소득층 주택 효율화(4000억원), 미래차 시장 육성(1000억원), 전기이륜차 전환(1000억원) 등에 예산이 배정돼 있다. 총 3조6000억원 규모다.
민주당에 따르면 그린 뉴딜에 중장기적으로 총 355조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365만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청사진이 현실화하려면 넘어야 할 걸림돌도 많다. 환경을 뜻하는 '그린'과 개발이 골자인 '뉴딜'이란 개념 자체가 양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구체적인 정책보다는 패러다임의 변화만 언급한 것도 이 같은 제약을 의식한 결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