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총선 투표율이 '역대급'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5일 오후 4시 기준 전국투표율이 59.7%를 기록해, 지난 20대 총선의 같은 시간 투표율보다 9.5%포인트 높은 수치를 기록중이다. 남은 투표 시간을 고려했을 때 17대 총선 투표율(60.6%)을 16년 만에 넘길 가능성이 높다.
특히 지난 10~11일 진행된 사전투표가26.69%의 투표율을 기록해 이 제도가 처음 도입된 2014년 지방선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정치권에선 이번 총선 투표율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 크게 두 가지로 꼽는다.
◆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따른 분산 투표 심리 작용
정치권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에 따른 우려로 분산 투표 심리가 작용해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한다.
총선 당일 많은 인파가 투표소에 몰리는 것을 예상하고,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다수의 유권자가 사전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사전투표는 지난 10~11일 이틀에 나눠 진행돼 유권자들이 시간을 분산해 투표소에 방문할 수 있었다.
선관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본 선거일에 투표소에 사람이 몰릴 것을 예상해 분산 투표를 하려는 심리가 영향이 큰 것 같다"고 밝혔다.
◆ 보수·진보 진영의 정치적 위기감에 따른 투표 참여↑
이번 총선에서 코로나19 사태는 '심판의 대상'에 큰 변화를 주면서 보수·진보 진영 각각을 결집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어 두 진영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결과적으로 높은 투표율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총선은 기본적으로 정권 중반에 치러지는 시기적 특성상 '정권·여당 심판' 성격이 강하다. 상대적으로 야권에 유리한 프레임이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선 '정권 심판론'이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두고 외국과 비교해 문재인 정부가 선전하고 있다는 평가가 우세하면서 '정권 심판론'이 약화된 것이다.
동시에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총선 국면에서 각종 실화 논란을 일으키면서 '야당 심판론'이 부상했다.
여당 지지자들은 '정권 수호·야당 심판'으로 결집하고, 야당 지지자들은 '여당 심판·보수 진영 결집'을 중심으로 모이면서 보수·진보 진영이 맞붙는 형국이 됐다. 그 결과 투표 참여 심리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이번 총선에서 준(準)연동형비례대표제의 최초 도입과 그 영향으로 생겨난, 비례대표 의석 확보를 위한 '위성정당'의 등장도 경쟁 구도를 격화시키는 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두 진영 간 경쟁 격화는 지역구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강화에서 읽을 수 있다. 영남 지역은 통합당 후보로 결집한 반면 호남 지역은 민주당 후보로 결집하면서 지역 구도가 어느 때보다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5일 오후 4시 기준 전국투표율이 59.7%를 기록해, 지난 20대 총선의 같은 시간 투표율보다 9.5%포인트 높은 수치를 기록중이다. 남은 투표 시간을 고려했을 때 17대 총선 투표율(60.6%)을 16년 만에 넘길 가능성이 높다.
특히 지난 10~11일 진행된 사전투표가26.69%의 투표율을 기록해 이 제도가 처음 도입된 2014년 지방선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정치권에선 이번 총선 투표율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 크게 두 가지로 꼽는다.
◆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따른 분산 투표 심리 작용
정치권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에 따른 우려로 분산 투표 심리가 작용해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한다.
총선 당일 많은 인파가 투표소에 몰리는 것을 예상하고,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다수의 유권자가 사전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사전투표는 지난 10~11일 이틀에 나눠 진행돼 유권자들이 시간을 분산해 투표소에 방문할 수 있었다.
선관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본 선거일에 투표소에 사람이 몰릴 것을 예상해 분산 투표를 하려는 심리가 영향이 큰 것 같다"고 밝혔다.
◆ 보수·진보 진영의 정치적 위기감에 따른 투표 참여↑
이번 총선에서 코로나19 사태는 '심판의 대상'에 큰 변화를 주면서 보수·진보 진영 각각을 결집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어 두 진영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결과적으로 높은 투표율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총선은 기본적으로 정권 중반에 치러지는 시기적 특성상 '정권·여당 심판' 성격이 강하다. 상대적으로 야권에 유리한 프레임이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선 '정권 심판론'이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대응을 두고 외국과 비교해 문재인 정부가 선전하고 있다는 평가가 우세하면서 '정권 심판론'이 약화된 것이다.
동시에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총선 국면에서 각종 실화 논란을 일으키면서 '야당 심판론'이 부상했다.
여당 지지자들은 '정권 수호·야당 심판'으로 결집하고, 야당 지지자들은 '여당 심판·보수 진영 결집'을 중심으로 모이면서 보수·진보 진영이 맞붙는 형국이 됐다. 그 결과 투표 참여 심리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이번 총선에서 준(準)연동형비례대표제의 최초 도입과 그 영향으로 생겨난, 비례대표 의석 확보를 위한 '위성정당'의 등장도 경쟁 구도를 격화시키는 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두 진영 간 경쟁 격화는 지역구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강화에서 읽을 수 있다. 영남 지역은 통합당 후보로 결집한 반면 호남 지역은 민주당 후보로 결집하면서 지역 구도가 어느 때보다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