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닷새째 서른명 안팎을 유지하면서 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다음 단계로 생활방역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여기엔 국내 누적 확진자의 완치율이 70%를 넘어섰고, 격리환자도 2000명대로 감소한 배경이 작용한다.
14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하루 나오는 완치자가 늘면서 격리 치료를 받는 확진자 규모는 줄어들고 있다. 또 매일 발생하는 완치자 수도 신규 확진자를 웃돌고 있다.
이번 주 후반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날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번 주 후반에는 그간 진행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과를 평가하고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모임, 여행 등 외부활동을 멈출 것을 강력 권고하면서 국민의 피로도가 높아졌고, 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국가 경제가 활기를 잃었다는 판단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우선 산발적 집단 감염과 해외 유입 관련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는 가운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전환의 필요성 여부다.
정부는 이 같은 딜레마로 인해 확실한 답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강력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실행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면서도 “다만 코로나19의 감염추세가 상당 기간 이어져 그동안 감염병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노력도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한 바 있다.
아직까지 생활방역에 대한 정의가 없는 점도 문제다. 전문가들도 생활방역에 대한 정확한 정립이 우선이라고 입을 모은다. 자칫 이전 일상으로 복귀한다는 잘못된 신호를 줘서 집단감염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전병율 차의과대학 교수(前질병관리본부장)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전 일상생활 사이에서 생활방역의 정립을 해야한다고 짚으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저녁모임 자체를 하지 말라는 것이면, 생활방역은 모이더라도 10명 이상은 모이지 말라고 한다든지 개념을 정해 놓고 생활방역체계로의 전환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 대비 27명 증가한 총 1만564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중 경기에서 8명이 발생했고, 7명은 공항 등 입국자 검역단계, 5명은 경북에서 발생했다. 이밖에 서울(2명), 대구(3명), 인천(1명), 울산(1명) 등 지역에서 확진자가 추가됐다. 완치 후 격리 해제된 사람은 87명 늘어 총 7534명이며, 14일 현재까지 222명이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