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이날 기준 684.78에 거래를 마쳤다. 2018년 1월 29일 종가 기준 927.05까지 치솟았던 지수는 2년 여 동안 26% 넘게 뒷걸음질 쳤다. 반짝 상승했던 코스닥은 같은 해 10월 600대로 주저 앉은 이후 현재까지 최대 700선 안팎에서 게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지난해 4월 출범한 코스닥벤처펀드도 시장 활성화에는 역부족이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코스닥벤처펀드는 공모주 우선 배정 등의 혜택을 앞세워 출시 첫해 공모 설정액이 8000억원에 달했지만 18일 기준 현재 설정액은 4500억원대로 쪼그라든 상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스닥 시장 활성화 방안 중 하나로 출시된 코스닥 벤처펀드는 당초 의도와 달리 사모시장의로 편중, 기업공개(IPO) 시장의 양극화, 메자닌 시장 과열이라는 부작용을 낳았다"면서 "개인 투자자가 벤처펀드에 투자 후 일정기간 가지고 있을 경우 투자금액의 1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에도 저조한 수익률에 실망해 중도 해지하는 경우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올해는 코스닥 활성화를 위해 시장 문을 더욱 활짝 열기로 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최근 '2020년 주요 추진사업'을 통해 혁신성장 지원과 코스닥 활력 제고를 위해 시가총액 등 시장 평가 중심으로 상장 요건 재편하겠다고 밝혔다. 미래 성장성 위주로 시장에서 높게 평가 받는 혁신기업의 빠르고 원활한 성장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그동안 코스닥 시장 상장 요건은 과거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돼 왔다.
이 개편안은 미래 성장성이 반영된 시가총액별로 재무요건 등을 차등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일반기업 4개, 이익 미실현기업 5개, 기술성장기업 2개 등 11개 유형으로 나뉜 상장 요건을 시가총액 중심으로 단순하게 바꾸기로 했다. 또 벤처캐피털(VC)·투자은행(IB)과 협업해 인공지능(AI) 기반 융·복합산업 등의 혁신기업 상장 심사 기준을 해당 산업에 적합하게 개선하는 등 특례상장 제도 활성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의 기술기업 실사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기업 기업실사 모범규준'을 마련하고 매년 기술기업 기업실사 우수 주관사를 선정, 인센티브도 주기로 했다.
다만 궁극적인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보다는 더욱 근본적인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평가도 많다. 송재경 흥국증권 센터장은 "활성화 기준을 어디다 두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지수 반등과 연결 해보면 단순히 상장사 개수를 늘리는 데 집중해서는 큰 실효성을 얻기 힘들어 보인다"며 "문턱을 낮춰 개방을 하면 사후 어떻게 할지 구체적으로 고려하고 관리 해나가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도 "현재 코스닥 시장은 별다른 특색이 없어 중소기업들만 자리하는 '코스피 2부 시장'으로 전락한 상황"이라며 "코스닥 시장의 주체적인 독립을 위해 진입 요건을 낮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코스피로 이전하지 않고 코스닥에 남아있어야 할 세제 혜택 같은 정책과 시장 색깔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