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올해부터 MICE산업 시군으로 확산한다

2020-02-13 15:00
  • 글자크기 설정

행사개최 때 인센티브 지역별 체험관광 유치


전라남도가 굴뚝 없는 황금산업인 마이스(MICE) 확산에 나서 주목된다.

MICE는 회의(Meeting),포상관광(Incentive),국제회의(Convention),이벤트와 전시(Events & Exhibition)를 말한다.
전라남도는 행사를 개최하는 기관과 단체에 인센티브를 주고 지역별 고유한 체험관광을 할 수 있는 유니크 베뉴(unique venue)를 활용한 중소규모 회의를 유치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남도청[사진-전라남도 제공]



전라남도는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1800여 명이 참가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국제회의 등 총 73건의 크고 작은 마이스 행사를 유치했다.

참가자 규모는 총 3만 6987명이다.

연도별로는 2017년 20건 9741명, 2018년 15건 9062명, 2019년 38건 1만 8184명이다.

이는 대규모 전시․컨벤션센터가 없는 상황에서도 마이스 연관시설이 일정 부분 갖춰진 여수를 중심으로 얻어낸 성과다.

올해는 여수뿐만 아니라 순천과 목포 등 회의․숙박시설과 관광․체험 콘텐츠를 갖춘 시군으로 마이스산업이 확산하도록 인센티브 지원제도를 개선했다.

이를 바탕으로 시군의 마이스 유치 관심도를 높이는 한편 지역 마이스 업계의 홍보․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인센티브 지원대상은 전남에서 회의나 학술대회, 세미나 등 마이스 행사를 개최하는 학회․협회, 조직위원회, 기업, 기관이다.

인센티브는 유형에 따라 건별 2000만 원 한도로 행사 규모별 차등 지원한다.

유형별로 국제회의는 국제기구 행사의 경우, 3개국 외국인 100명을 포함해 250명 이상이 참가해 2일 이상 열어야 한다.

비국제기구 행사의 경우, 외국인 100명 이상이 참가해 2일 이상 행사를 열면 지원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제회의 기준 법률’ 지급기준에 따른 것이다.

기업회의는 학회나 협회 주최 또는 비영리 목적의 정기회의로, 100명 이상이 참가해 2일 이상 열면 된다. 30명 이상이 2일 이상 개최하는 중소규모 기업회의도 지원한다.

또 ‘휴(休) 마이스’ 시설을 지정해 육성한다.

자연․생태, 역사․문화 자원 등 지역별 고유한 특성이 있는 시군의 유니크 베뉴를 발굴, 인근 회의․숙박시설과 연계한 중․소 규모 휴양형 마이스 행사도 유치할 계획이다.

특히 전라남도는 오는 6월 ‘2019 한국 마이스 엑스포’ 참가를 비롯해 마이스 초청 사전답사, 마이스 역량 강화 아카데미 개최 등을 통해 다양한 바이어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마이스 관계자와 네트워크를 강화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