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 주가는 지속 하락 중이다. 디벨로퍼 도약 선언에서 모빌리티 기업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은 경영전략에 대한 의구심을 높이는 요인이다. 에어부산 거취를 어떻게 결정할지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3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HDC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면서 그룹 지배구조는 ‘HDC→HDC현대산업개발→아시아나항공’이 됐다. 주목을 받는 부분은 아시아나항공이 지분 44.17%를 보유한 에어부산이다.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손자회사는 자회사 지분을 100% 보유(유예기간 2년)해야 한다. 즉 아시아나항공이 에어부산 지분 55.83%를 확보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 체력을 감안하면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항공업을 중심으로 영업환경도 비우호적으로 변하고 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지난 2017년 663억8900만원에서 2018년 250억2600만원으로 급감했다. 지난해 3분기 누적기준으로는 153억3000만원에 불과하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시장 상황을 고려해 저가에 내놓는 것도 옳은 선택이라 할 수 없다. 저비용항공사(LCC)업계도 구조조정에 돌입하면서 시장점유율 상위 기업들이 여타 경쟁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저가에 에어부산을 매각하면 아시아나항공이 경쟁사들에 오히려 힘을 싣게 되는 격이다.
매각을 보류하고 자회사로 격상한다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아시아나항공 인수자금 조달을 위해 4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주가가 곤두박질 치는 상황에서 인수부담으로 인해 신용등급도 하락 위기에 처했다. 조달비용 증가는 디벨로퍼 입장에서 상당한 치명타다. 추가 자금조달에 나서는 것도 쉽지 않는 일이다.
종합건설사에서 디벨로퍼로 도약 선언을 한지 얼마 되지 않아 모빌리티 기업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도 시장 신뢰를 낮추는 요인이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후 구체적 전략이 제시되지 않은 만큼 주주반발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신영증권은 에어부산에 대한 투자를 아시아나항공이 직접 회수하기 어렵다면 매각이 이익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지방 공항을 중심으로 영업을 하고 있어 회복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판단이다. 추가 자본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그룹 전반 재무부담 우려가 높아질 수 있다.
에어부산은 지난해 11월 인천공항 첫 취항 후 노선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성공한다면 매각 혹은 100% 지분 확보 등에서도 HDC그룹 전반 부담은 줄어든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 HDC그룹은 에어부산을 두고 현재 어떤 결정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매각을 하자니 경쟁사 추격이 우려되고 품고 가자니 자금부담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에어부산이 자체적으로 수익성을 높인다면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지만 단기 내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간 인천공항에 주력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시아나항공과 노선 중복이다. 가격 차별화는 물론 운항스케줄 편성으로 아시아나항공과 경쟁은 피한다는 전략이었다.
다른 증권사 연구원은 “매각이 HDC그룹 자금부담은 덜 수 있겠지만 에어부산이 경쟁력을 높이면 단연 아시아나항공과 합병 혹은 자회사 격상 등이 유리하다”며 “매각 결정은 자금이 부족하다는 신호가 될 수 있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업계 전반 출혈 경쟁이 불가피한 만큼 HDC가 당장 뚜렷한 경영전략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