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는 최근 다시 사상 최고치 경신 행진에 돌입했다. 미국 국채도 랠리를 펼치고 있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인행 행진에도 달러는 강세를 뽐내고 있다. 반면 중국 증시, 중국 국채, 위안화는 강세 반전의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증시의 경우 뉴욕증시 간판인 S&P500지수와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8월만 해도 상관관계가 4년 만에 가장 뚜렷할 정도로 움직임이 비슷했다. 하지만 곧 방향이 어긋나기 시작하면서 6월 말 이후 최근까지 S&P500은 7.2% 뛴 반면, 상하이종합지수는 3% 하락했다.
미국과 중국의 국채 수요도 엇갈렸다. 중국에서 유동성 우려가 불거진 지난달 10년 만기 미국 국채와 중국 국채의 수익률(금리) 차이(스프레드)는 1.6%포인트로 2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이 중국 국채에 더 큰 위험비용(금리)을 요구한 탓이다. 지난해 말만 해도 미국과 중국의 10년물 국채 금리 스프레드는 2010년 이후 최저인 0.25%포인트에 불과했다.
위안화는 급격한 약세 행보를 보였다. 지난 8월에는 위안·달러 환율이 2008년 이후 처음으로 7위안 선을 넘었다. 미국은 당시 위안화 약세를 문제 삼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중국이 인위적으로 위안화 가치를 낮춰 수출경쟁력을 높이려 한다는 이유에서다. 위안·달러 환율은 이달 초 한때 6위안 선으로 내려왔다, 다시 7위안 대로 복귀했다.
블룸버그는 최근 위안화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다며, 트레이더들의 관망세가 짙은 분위기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금융시장에서 미국과 중국의 희비가 갈리게 된 건 중앙은행 행보, 경제지표 등과 무관하지 않다고지적한다. 우선 연준은 올해 기준금리를 세 차례 낮출 정도로 적극적인 통화완화로 경기부양에 나섰다. 덕분에 지난해 말부터 경기둔화, 더 심하게는 경기침체 우려까지 불러 일으켰던 미국 경제가 기대 이상의 성장세를 뽐냈다.
미국의 실업률은 반세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고, 당초 1.9%로 집계됐던 미국의 3분기 성장률은 최근 2.1%로 상향조정됐다. 이에 따라 월가에서는 4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높여 잡고 있다. JP모건은 최근 미국의 4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1.25%에서 2.10%로 무려 0.85%포인트 상향조정했다.
반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최악의 경제지표에도 경기부양에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의 3분기 성장률은 6.0%로 통계가 시작된 1992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낮았다. 내년에는 성장률이 5%대로 추락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서는 최근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면서 곳곳에서 뱅크런(대량 예금인출 사태)과 디폴트(채무불이행)가 속출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별도 기사에서 뱅크런과 디폴트, 급증하는 가계부채 등을 문제 삼으며 중국 곳곳에서 금융 경고등이 번쩍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중국 경제가 직면한 역풍의 강도에 비하면 중국 증시가 선전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상하이종합지수가 올 들어 지난 4월 정점까지 31%, 전체로는 16% 올랐다며 상대적으로 탄탄한 성적이라고 평가했다.
두 투자은행은 다만 올해 중국 증시에서 상대적으로 강했던 외국인 매수세가 앞으로는 약해질 공산이 크다고 봤다. 중국 A주(중국 본토 증시 상장 주식)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조정한 이유다. 골드만삭스는 내년에 6%에 못 미칠 중국의 성장률이 시장 참가자들의 우려를 촉발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