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식 칼럼] 연해주 고려인을 기리며

2019-09-02 18:42
  • 글자크기 설정

[사진=임병식 객원 논설위원]



조국 정국으로 뜨거운 지난주 경술국치(庚戌國恥)가 조용히 지났다. 1910년 8월 29일, 조선왕조는 519년 만에 막을 내렸다.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110년 전 그해 여름도 뜨거웠다. 여러 선비들은 자결로써 부끄러움을 대신했다. 매천 황현은 “인간 세상에 글 아는 사람 노릇하기 어렵다”며 목숨을 끊었다. 올해는 기려야 할 역사적 사건이 여럿 있다. 3·1운동 100주년, 임시정부수립 100주년(4.11일)이 그렇다. 가파른 여야 대치 정국에서 경술국치는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그날 러시아 크라스키노(延秋) ‘동의단지동맹비(同義斷指同盟碑)’ 앞에 섰다.

‘돌바내’ 회원들과 함께였다. 검은색 비석은 연해주 하늘을 향해 곧추서 있었다. 그 한가운데 약지가 없는 손바닥을 새긴 음각은 도드라졌다. 안중근을 비롯한 독립지사 12명은 1909년 2월, 약지를 잘랐다. 조국 독립을 염원하면서다. 그리고 흐르는 피로 태극기에 대한독립이라고 적었다. 무엇이 그들을 이역만리 동토로 이끌고, 단지(斷指)를 결행하게 했을까. 생각하면 숙연하다. 안중근은 여덟 달 뒤,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다. 단지동맹에서 뜨거운 결의는 제국주의 심장을 관통했다.
 

[러시아 크라스키노(延秋) ‘동의단지동맹비]

크라스키노 단지동맹비에서 시작한 여정은 우수리스크 최재형 생가, 이상설 유허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으로 이어졌다. 최재형은 노비 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나 어려운 환경을 딛고 러시아어를 익혀 부를 쌓았다. 그 돈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그는 연해주 독립운동 대부였다. 난로를 뜻하는 ‘페치카’라는 애칭은 이런 연유를 담고 있다. 결국 일제에 총살당했다.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지만 그가 남긴 족적은 넓고 깊다. 흉상 앞, 고개를 숙여 넋을 기렸다.

이상설 유허비는 최재형 생가에서 멀지 않다. 한적한 강 옆, 유허비가 외롭게 서있다. 그는 선비였다. 을사늑약 직후(1906년) 용정으로 건너가 서전서숙(瑞甸書塾)을 세웠다. 네덜란드 헤이그에선 특사로 활동했다. 비록 무위에 그쳤지만 조국 독립을 위한 치열한 여정이었다. 이상설은 1908년 우수리스크로 근거지를 옮겨 마지막 불꽃을 살랐다. 마흔여덟, 삶을 마감하면서 남긴 유훈은 비장하다. 식민지배에 있는 고국에 돌아갈 면목이 없다며 화장을 지시했다. 유골은 라즈돌리노예(솔빈) 강에 뿌려졌다. 강은 흘러 동해로 이어진다. 그의 유해가 끝내는 고국에 닿았기를, 그래서 넋도 평온하기를 기원했다.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新韓村) 언덕에 서면 루스키 섬이 보인다. 섬에서는 푸틴이 심혈을 기울이는 동방경제포럼이 열린다. 푸틴은 동방정책을 야심차게 추진 중이다. 신한촌은 해외 독립운동사를 거론할 때마다 빠지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최재형, 이상설은 물론 홍범도, 이동영, 이동휘, 유인석 등 내로라하는 독립지사들이 이곳에 둥지를 틀었다. 해외 독립운동 중추기지였다. 1937년 강제 추방되기 전까지 1만여 명이 살았다. 낯설고 물선 이곳에 고려인들은 민들레처럼 뿌리내렸다.

신한촌기념탑 비문은 비장하다. “선열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고, 고려인들의 상처를 위로하며, 후손들에게 역사인식을 일깨우기 위해”서다. 3·1운동 80주년을 기념해 1998년 세웠다. 고려인 3세 이 베체슬라브씨가 20여 년째 관리하고 있다. 이씨는 지금 혼수상태다. 블라디보스토크 한인일보 유승호 발행인은 “평소 이씨에게 농담처럼 ‘내가 뒤를 잇겠다’고 말했다”면서도 “하루속히 병상에서 일어나길 기원한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남편을 대신해 기념탑을 지키는 이씨 아내의 얼굴은 그늘졌다. 떠나온 뒤에도 오래도록 눈에 밟혔다.
 

[신한촌 기념탑]


이처럼 연해주는 독립운동 자취가 짙게 밴 각별한 땅이다. 독립운동에서 주역은 고려인들이다. 스탈린은 1937년 일본 간첩을 색출한다며 고려인을 강제 추방했다. 고려인들은 영문도 모른 채 화물 기차에 올랐다. 그리고 6,700㎞를 달려 중앙아시아 황무지에 짐짝처럼 내던져졌다. 더러는 이동 중에 숨졌고, 더러는 도착한 곳에서 배고픔과 추위를 이기지 못해 동사했다. 수년 전 방문한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탄 초기 정착지는 참담했다. 토굴을 파고, 갈대로 엮은 집에서 고려인들은 짐승처럼 혹한을 견뎠다.

고려인 4세를 재외동포로 인정하는 ‘고려인 동포 특별법’이 이달 2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그동안은 3세까지만 재외동포로 인정됐다. 4세부터는 외국인이었다. 이 때문에 19살이 되면 가족을 떠나야 했다. 자식과 생이별해야 하는 현실 앞에 고려인들은 절망했다. 연해주로, 중앙아시아로, 한국으로 할아버지 때부터 시작된 유랑의 대물림이다. 다행히 문재인 정부에서 해결됐다. 국회의장실에 있을 때 전국 고려인대회에 다녀왔다. 고려인 4세들이 안정적인 지위를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외교부와 사법부는 부정적이었다. 전해철, 김경협 의원이 숨은 공로자임을 밝혀둔다.

당시 정세균 의장도 “고려인 동포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합당한 지위 확보를 위해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대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면서 “법과 제도 이전에 인간으로서 누려야할 최소한 권리를 방치하는 사회는 야만적이다”며 법 개정에 힘을 보탰다. 100여 년 유랑 끝에 고국에 정착한 고려인들에게 다소나마 미안함을 덜었다. 고려인은 외국인도 이방인도 아닌 우리 동포다. 약지를 잘라, 재산을 팔아, 목숨을 바친 독립운동 후손임을 잊는다면 죄스러운 일이다.


 

[이상설 유허비 앞에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