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3일 3000억원 규모의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후순위채)을 발행한 우리금융은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주설립 후 운영자금 조달 용도로 후순위채 발행에 나선 것”이라며 “낮은 이율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방어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자본비율을 높일 경우, 영구채 발행에 있어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국민은행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후순위채 형태의 코코본드를 발행한 뒤 이달 11일 5억 달러(약 592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결정했다. KB금융지주도 지난 3월 4000억원 규모의 영구채 발행을 알린 바 있다. 신한지주도 지난 5월 5억 달러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했으며, 같은 날 2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조건부자본증권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기존 신종자본증권과 후순위채권 발행분은 2013년 12월 1일에는 90%까지, 2014년에는 80%까지 자본으로 인정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매년 최대 인정한도를 10%포인트씩 차감하며 2022년에는 전액을 자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실제 신한은행의 2019년 1분기 경영현황 보고서를 보면 신한은행이 2022년 제로(0)가 되는 자본인정금액은 1조197억원에 달한다. KB국민은행도 1조931억원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1조6000억원이 넘는다. 매년 은행마다 3년간 매년 4000억원의 자금을 영구채 등을 통해 조달해 채워 넣어야 한다는 얘기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부채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은행들은 크게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시간적 여유가 있는데다 국내 은행 대부분이 규제 기준을 충족하고 있어 신종자본증권의 자본성이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종자본증권이 부채로 분류된다면 이를 발행한 금융사들의 재무건전성이 크게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면서도 “그러나 부채로 변경 분류될지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부채로 분류된다 해도 일정 기간 경과 후 적용될 예정이라 발행사가 대처할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시간적 여유와 규제대상 제외 등으로 앞으로 영구채 발행은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줄어드는 자본을 채워넣는 것과 더불어 은행들이 새로운 먹거리 사업 진출을 위해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어 자금조달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최근 낮은 금리 등 시장 환경까지 좋아져 올해에도 영구채와 후순위채 등 조건부자본증권의 발행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