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은 아이의 상처가 화면에 그대로 드러나니까. 보기가 힘들다고 해야 하나. 동훈(영화 '소원', 설경구 배역)의 경우도 사건 당시 곁에 있었던 당사자였고요. 괴로운 심정이 더 컸죠. '생일'은 묘하게 달랐어요. 다른 깊이긴 하지만 이후의 상황이고 정일(영화 '생일', 설경구 배역)은 당사자지만 특수한 상황 때문에 세월호 삼사 당시 외국에 있었던 상황이었죠. 사건의 중심에 들어가지 못하고 계속 겉돌기만 해요. 두 작품을 비교하시거나 비슷하게 받아들이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저로서는 완벽하게 달랐죠."
지난 3일 개봉한 영화 '생일'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사고로 세상을 떠난 아들과 남겨진 가족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작품. 앞서 언급했듯 설경구는 가족에게 미안함을 안고 사는 아빠 정일 역을 맡았다.
설경구의 마음을 흔든 '나, 우리'의 이야기. 그는 "순남이 아파트에서 목 놓아 울자 아파트 사람들이 지친 기색을 보이는 모습이 아주 오래도록 잔상에 남는다"며 마음이 아팠다고 털어놓았다. 그 장면이 '생일'의 핵심을 찔렀다고도 털어놨다. 양가적인 감정이 들었다는 말이었다.
이종언 감독은 세월호 참사당시 안산을 찾아 유가족들을 만나고 오랜 시간 봉사활동에 참여하며 '생일'의 시나리오를 만들어왔다고. 누구보다 조심스럽고 담백하게 시나리오를 만들고 진정성 있게 접근해온 만큼, 배우들 역시 이종언 감독을 믿고 따라왔다고 한다.
"우리는 이 책이 쉽게 쓰인 게 아니라는 걸 알고 있었어요. 이 진정성을 누구도 의심하면 안 됐죠. 신인 감독이라고 해도 말이에요. 이종언 감독님과 (전)도연 씨는 '밀양' 때, 저는 '여행자' 때 연출부와 배우로 만난 사이에요. 위치에 따라 사람이 달라 보인다는 게 아니지만, 이 책을 보고 나니까 그가 달라 보이더라고요. 단단하다고 해야 하나. 그게 저는 진정성이라고 생각해요. 우리 모두 현장에서 그걸 느끼면서 (연기) 했어요. 책에 대한 예의였죠."
그렇기 때문에 배우들 역시 매 순간 '연기'로 접근할 수 없었다고. 전도연, 설경구라는 '베테랑 배우'를 모아놓고 연기 얘기는 빠졌으면 좋겠다니. 아이러니한 이야기에 고개를 갸웃거리자 그는 "'연기를 참 잘했다'는 말처럼 무서운 말이 또 있겠냐"고 거들기까지 한다.
"'생일'처럼 연기 얘기가 나오면 안 되는 영화가 또 있을까요? 작품을 임할 때 매 순간 진심으로 접근하려고 했고 또 그렇게 보이길 바랐어요. '연기 참 잘했다'는 말이 이 영화처럼 끔찍하게 들릴 수 있을까요? 그런 심정으로 했어요. 진짜, 진짜로 다가갔어요."
영화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이후 18년 만에 재회한 설경구, 전도연의 호흡은 '생일'을 통해 빛을 발했다. 설경구는 '생일'의 시나리오를 읽고 단박에 전도연을 떠올렸고 '생일' 제작사인 파인필름의 이준동 대표 역시 마찬가지였다.
"처음에 도연씨가 안 한다고 해서. 하하하. 너무 아쉬웠죠. 나중에 한 번 더 보내봤는데도 못 한다고 그랬대. 우리끼리 아쉽다, 아쉽다 하고 있는데 도연씨가 제작사에 자꾸 찾아온다는 거야. '건드리면 될 거 같다. 잡아보라'고 했었어. 그러고 나서 며칠 안 돼서 하기로 결정했다고 하더라고요. 아! 다행이다. 턱 막혔던 게 쫙 내려가더라고요. 큰 산 하나를 넘은 느낌이 들었죠. 연기하는 도연씨는 예나 지금이나 외형도 그렇고 똑같아요. 달라진 게 있다면 더 깊어졌다는 점? 도사 느낌이 나요. 표현력이 더 깊어졌죠."
진정성을 담아낸 전도연, 설경구의 '마음'은 보다 더 깊고 풍성해졌다. 이들이 보여준 '생일'과 순남, 정일은 보는 이들의 마음을 움직였고 그건 유가족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유가족 시사회를 찾은 가족들은 주연배우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드러내며 함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고.
"무대 인사를 갔는데 '고맙다'며 손을 잡아주시는 거예요. 도연씨가 힘들어하더라고요. 저는 그저 죄송하고 고마운 마음이 들더라고요. '왜 제가 고맙다는 인사를 들어야 하나' 싶고. 고맙다는 이야기를 듣기에 죄스럽죠."
2014년 4월 16일. 벌써 세월호 5주기다. 아직 많은 이들이 슬픔에서 헤어나오지 못했고, 진실 역시 제대로 밝혀지지 못한 채다. 설경구는 영화 '생일'이 큰 우려 속에서 시작했고 또한 지금도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어떤 프레임에 갇히기보다 "평범한 이웃의 이야기라고 읽히기를 바란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책이 어떤 의도에 의해 확대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였다.
"휘둘리고 싶지 않아요. 그냥 '나, 우리'의 이야기로 봐주셨으면 해요. 정일이와 순남을 설득하듯 같은 마음으로 봐주시고 순남이를 일으켜주었으면 하는 마음인 거예요."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설경구는 "우리 영화는 아파지자고, 슬퍼지자고 만든 영화가 아니라"며 다시 한번 강조했다. '나, 우리'의 이야기라는 것이 중요하다고 짚으면서.
"영화를 찍은 지 20년도 넘었는데 이런 경험은 또 처음이에요. 혼자 찍는 거 같지가 않더라고요. 정말 '생일'에 초대받는 기분이라고 할까. 누군가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해주는 기분이 들어요.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듣다 오는 자리가 아니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