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인기에 다이소가 '2조클럽' 가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다이소 매출은 1조9785억원, 영업이익 1251억원으로 집계됐다.
다이소는 지난 2015년 매출 1조493억원을 달성한 이후 매년 꾸준히 20% 이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다이소는 전 매장에서 최대 5000원을 넘지 않는 가격 정책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마케팅이 매출 증가에 한몫했다고 분석했다. 다이소 관계자는 "특히 '봄봄 시리즈', '바이올렛 시리즈' 등 시즌마다 출시하는 시리즈 상품을 유투버들이 자발적으로 하울(구입 물건 개봉·품평) 영상을 올리거나 네이버 밴드 '다이소 털이범'에서 후기를 공유하며 네티즌들 사이에서 인기를 끈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20%대 매출증가에 비해 영업이익은 잠시 주춤했다. 영업이익은 2016년과 2017년 30% 이상 각각 증가하다, 지난해 16.5% 감소하며 증가세가 한풀 꺾인 모습을 보였다.
다이소는 "인건비 상승과 신규매장 시설에 대한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올해 2조원 매출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최근 정부 규제 움직임이 성장 드라이브에 제동을 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이소는 주방·인테리어·문구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 3만여종을 취급하는 생활용품 전문점으로 분류된다. 때문에 대형마트와 달리 유통산업발전법 규제 대상이 아닌 업종으로 분류된다. 정부와 정치권, 업계에서는 골목상권 보호를 이유로 다이소 등 대형 생활용품 전문점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다.
김광수 민주평화당 의원은 지난 2월 준대규모점포에 포함되지 않아도 매출액 기준을 초과하는 점포의 영업시간을 제한하거나 의무휴업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준대규모점포·전통시장 상생법’을 대표 발의했다.
김 의원은 "다이소는 생활용품을 백화점 형태로 취급하다보니 인접 전통시장 상권을 블랙홀같이 빨아들여 폐해가 심각하다"며 "규제를 총 매출액 단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중소기업연구원을 통해 다이소·이케아 등 대규모 전문점 규제 필요성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한편, 다이소는 지난해 대형마트와 함께 문구소매업 중소기업 적합업종 권고 대상에 포함돼 18개 문구 품목을 묶음 판매하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다이소 매출은 1조9785억원, 영업이익 1251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20%대 매출증가에 비해 영업이익은 잠시 주춤했다. 영업이익은 2016년과 2017년 30% 이상 각각 증가하다, 지난해 16.5% 감소하며 증가세가 한풀 꺾인 모습을 보였다.
다이소는 "인건비 상승과 신규매장 시설에 대한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올해 2조원 매출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최근 정부 규제 움직임이 성장 드라이브에 제동을 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이소는 주방·인테리어·문구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 3만여종을 취급하는 생활용품 전문점으로 분류된다. 때문에 대형마트와 달리 유통산업발전법 규제 대상이 아닌 업종으로 분류된다. 정부와 정치권, 업계에서는 골목상권 보호를 이유로 다이소 등 대형 생활용품 전문점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다.
김광수 민주평화당 의원은 지난 2월 준대규모점포에 포함되지 않아도 매출액 기준을 초과하는 점포의 영업시간을 제한하거나 의무휴업일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준대규모점포·전통시장 상생법’을 대표 발의했다.
김 의원은 "다이소는 생활용품을 백화점 형태로 취급하다보니 인접 전통시장 상권을 블랙홀같이 빨아들여 폐해가 심각하다"며 "규제를 총 매출액 단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중소벤처기업부도 중소기업연구원을 통해 다이소·이케아 등 대규모 전문점 규제 필요성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한편, 다이소는 지난해 대형마트와 함께 문구소매업 중소기업 적합업종 권고 대상에 포함돼 18개 문구 품목을 묶음 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