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목희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올해 공공 일자리에서 7만~8만개, 민간 일자리에서 8만~9만개의 취업자가 각각 증가할 것"이라며 "자동으로 늘어나는 플러스 알파(+α) 취업자 수까지 포함하면, 20만개 이상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실에서 가진 본지와의 특별인터뷰에서 "환경·일자리에 초점을 맞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으로 앞으로 고용의 양과 질이 모두 좋아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 기사 3면>
이 부위원장이 언급한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 '20만명+α'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노동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 전망치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두 기관이 전망한 취업자 수 증가 폭은 각각 13만명과 10만명 안팎에 불과했다.
이 부위원장은 정부 예산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는 비판에 대해 "그게 선진국이다. 선진국이야말로 세금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며 "국제통화기금(IMF)도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통해 확장적 재정정책을 권고하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특히 이 부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에 대해 "정부 경제정책의 기존 변화는 아니다"면서도 "지난해까지 혁신성장 내용을 채우지 못하면서 속도가 나지 않았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혁신성장 행보는 '여기서 더 뒤처지면 미래는 없다'는 메시지"라고 전했다.
그는 "지금은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해 바이오·헬스,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산단 등으로 내용을 채웠다"며 "혁신성장도 본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부위원장은 "일자리위가 지난해 만든 '민간 일자리 53만개 창출 로드맵(오는 2022년까지)'을 점검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며 "1년 기준으로 13만2500명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더 많이 만들어지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자리위 차원에선 △청년 일자리의 미스매치 근절 △지역돌봄 사업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총력전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 부위원장은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의 간격을 좁히는 '사람 중심 투자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혁신안을 곧 발표할 예정"이라며 "내년부터 수천억원의 예산을 들여 지역돌봄 사업을 대대적으로 실시,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일자리도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
이 부위원장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실에서 가진 본지와의 특별인터뷰에서 "환경·일자리에 초점을 맞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으로 앞으로 고용의 양과 질이 모두 좋아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 기사 3면>
이 부위원장이 언급한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 '20만명+α'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한국노동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 전망치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두 기관이 전망한 취업자 수 증가 폭은 각각 13만명과 10만명 안팎에 불과했다.
이 부위원장은 정부 예산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는 비판에 대해 "그게 선진국이다. 선진국이야말로 세금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며 "국제통화기금(IMF)도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통해 확장적 재정정책을 권고하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이미지 확대
![이목희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올해 고용의 양과 질이 모두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김세구 기자 k39@]](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3/24/20190324231225481131.jpg)
이목희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올해 고용의 양과 질이 모두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김세구 기자 k39@]
특히 이 부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에 대해 "정부 경제정책의 기존 변화는 아니다"면서도 "지난해까지 혁신성장 내용을 채우지 못하면서 속도가 나지 않았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혁신성장 행보는 '여기서 더 뒤처지면 미래는 없다'는 메시지"라고 전했다.
그는 "지금은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해 바이오·헬스,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산단 등으로 내용을 채웠다"며 "혁신성장도 본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부위원장은 "일자리위가 지난해 만든 '민간 일자리 53만개 창출 로드맵(오는 2022년까지)'을 점검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며 "1년 기준으로 13만2500명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더 많이 만들어지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자리위 차원에선 △청년 일자리의 미스매치 근절 △지역돌봄 사업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총력전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 부위원장은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의 간격을 좁히는 '사람 중심 투자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혁신안을 곧 발표할 예정"이라며 "내년부터 수천억원의 예산을 들여 지역돌봄 사업을 대대적으로 실시,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일자리도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