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쇼크'로 아시아 기술업계에 경고등이 켜졌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의 성장둔화가 거세지면서 '세계의 공장'이자 '세계의 시장'인 중국의 위상이 흔들리면서다. 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이 워낙 커 아시아 기술업계의 경기하강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본다.
닛케이아시안리뷰(NAR)는 24일자 최신호에서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의 성장둔화와 세계적인 경기둔화 조짐, 스마트폰시장 포화를 비롯한 악재 탓에 아시아 기술업계가 장기적인 침체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업들이 체감하는 위기는 이미 실적과 실적 전망에 반영되고 있다.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업체로 애플의 주요 협력사인 대만 TSMC는 최근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 이상 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4분기 실적도 부진했다. SK하이닉스와 대만 난야테크놀로지 같은 반도체업체들의 영업이익 감소세가 뚜렷했다.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전 분기보다 32% 줄었다. 이 회사는 반도체시장 환경의 급변을 실적 악화의 배경으로 지목했다. 난야도 같은 기간 순이익이 40% 감소했다. 난야는 시장 환경 악화를 이유로 올해 설비투자를 50%까지 축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LG전자도 지난해 4분기에 '실적쇼크'를 겪었다. 삼성은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39% 감소했고, LG는 80%나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가 심해진 게 아시아 기술기업들의 실적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6.4%로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성장률은 6.6%로 1990년 이후 가장 낮았다. 투자, 소매판매를 비롯한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들은 무역전쟁이 거세진 지난해 하반기 들어 급격히 둔화했다. 일련의 지표 악화는 미국발 무역전쟁의 충격이 예상보다 컸음을 방증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국의 성장둔화는 세계 경제 전망도 암울하게 만들었다. 영국 경제분석업체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최신 보고서에서 중국의 성장둔화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보다 0.2% 포인트 낮출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 투자은행 씨티그룹은 중국의 성장둔화가 세계 경제를 강타해 경로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미·중 무역전쟁 등의 역풍을 우려하며 지난해 10월에 이어 이달 초에 낸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도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각각 0.2% 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지난 21일에 낸 보고서에서 제시한 올해 성장률은 3.5%다.
한국 반도체업체들의 대중국·홍콩 수출은 지난해 12월에만 19% 감소했다. 중국과 홍콩에 대한 대만의 전체 수출은 같은 기간 9.9% 줄었다. 기술 비중이 큰 이 나라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0%에 이른다. 중국이 기침하면 감기에 걸리지 않을 수 없는 처지다.
첨단기술의 집합체인 스마트폰시장의 포화도 아시아 기술기업들을 위협한다. 특히 글로벌 스마트폰시장의 3분의1을 차지하는 중국 내 스마트폰 판매량은 2017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서 지난해엔 감소폭이 11%로 확대됐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지고 소비자들의 소비가 줄어든 탓이라고 분석했다.
애플도 최근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의 경기둔화로 아이폰 매출이 급감하는 '차이나 쇼크'를 경고해 글로벌 금융시장을 뒤흔들었다. 애플은 이달 초 지난해 10~12월 매출 전망치를 5~9% 낮춰 잡았다. 애플이 매출 전망치를 낮춘 건 15년여 만에 처음이다. 애플이 29일 발표한 같은 분기 실적은 이 전망에 부합했다. 애플이 위기에 몰리면서 중국에서는 최근 아이폰이 20% 할인된 가격에 팔리고 있다고 한다.
◆반도체장비·디스플레이도 위기
일련의 악재는 반도체뿐 아니라 반도체장비, 디스플레이 등 아시아지역의 다른 기술업종에도 타격을 미쳤다. 일본 LCD(액정표시장치) 메이커인 재팬디스플레이는 지난해 1~9월에 144억엔(약 15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매출이 40% 넘게 감소한 탓이다. 일본 반도체장비업체 도쿄일렉트론은 실적 전망치를 하향조정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주요 전자부품업체들의 지난해 4분기 주문이 3% 줄었다고 분석했다. 이들 업체의 주문이 감소한 건 9분기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자동차 관련 전자부품 매출은 상대적으로 강력하지만, 스마트폰 관련 부품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며 2016년 말 이후 이어진 증가세가 끝났다는 설명이다.
NAR은 중국의 성장둔화가 전자부품 수요침체를 부추겼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의 스마트폰 생산이 지난해 9월부터 줄기 시작해 12월에는 감소폭이 10%에 달했다는 것이다. 애플 최대 하청업체인 대만의 폭스콘이 지난해 10월 이후 중국 정저우에 있는 아이폰 조립공장에서 약 5만명을 해고했을 정도다.
전문가들은 아시아 기술업계를 강타한 '차이나 쇼크'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본다. '기술냉전' 양상을 띠고 있는 미·중 무역전쟁이 단기간에 끝날 것 같지 않아서다. 불확실성이 큰 만큼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 이는 결국 경쟁에서 뒤처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기술기업들도 고전하긴 마찬가지다. 중국 경제 여건이 만만치 않은 데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견제도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와 이 회사 멍완저우 부회장 등이 미국에서 금융사기, 대이란 제재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되는 철퇴를 맞은 게 대표적이다.
중국에서 임금 수준이 높은 기술기업들의 고용환경이 나빠지면 소비지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첨단기기의 수요 감소는 기술업계를 더 압박하는 요인이 된다.
NAR은 미국 주요 기술기업들의 데이터센터 건설이 주춤해진 것도 아시아 기술업계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려면 반도체가 대거 필요한데, 대부분 중국에서 만들어진다. 애플, 구글(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페이스북 등의 설비투자는 지난해 2~3분기 연속 감소했다.
NAR은 데이터 산업 성장 등에 힘입어 장기적으로는 반도체 수요가 늘겠지만, 현재로선 미·중 무역전쟁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워낙 크다고 지적했다. 하나야 다케루 SMBC닛코증권 애널리스트는 "기술업계의 경기하강이 평소보다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