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식 칼럼] 군산: 부활을 노래하며

2018-12-10 18:44
  • 글자크기 설정

[사진=임병식 객원 논설위원]


지난달 개봉한 영화 한 편은 새삼 군산이란 도시를 불러 세운다.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라는 영화다. 박해일, 문소리, 정진영, 윤제문, 문숙. 충무로 연기파 배우들이 한 자리에 나서 화제를 모았다. 스크린에는 자연스럽게 군산이란 도시가 흘러간다. 군산은 열린 도시다. 항구에다 일제강점기, 미공군 기지를 거치면서 여러 문화가 혼재됐다. 그래서 매력적이며 독특하다. 영화 속에서 군산은 어떤 모습일까. 일본식 가옥과 철길 마을이 보인다. 시간이 멈춘,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라는 느낌을 준다. 장률 감독은 “목포에 비해 부드러운 느낌을 지닌, 남녀가 사랑하기에 좋은 도시”라서 군산을 선택했다고 했다.

그런데 요즘 군산은 너무 힘들다. 영화처럼 말랑말랑한 사랑 이야기를 늘어놓는 게 사치스러울 정도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2017년 7월), 한국GM 폐쇄(2018년 5월)로 초토화됐다. 군산국가산업단지에서 이들 기업이 차지하는 경제 비중은 54%다. 그러니 동반 몰락은 불가피하다. 국회의장실에 있을 때 군산시로부터 수차례 도움을 요청받았다.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을 막아달라는 것이다. 현대측에서 회피하는 바람에 정세균 국회의장과 정몽준 회장 면담은 끝내 성사되지 않았다. 한국GM 폐쇄를 막기 위해서도 다양한 채널을 가동했지만 힘이 부쳤다. 냉정한 경제논리 앞에 정치는 한계였다. 결국 일자리는 날아가고 협력업체는 줄도산하고 사람은 떠났다.
2015년 1만 6,000명에 달했던 근로자는 9,500여 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86개였던 군산조선소 협력업체는 22개만 남았다. GM 군산공장 협력업체는 136개가 사라졌다. 1년 동안 일자리는 1만 3,000여 명, 인구는 5,000여 명이 줄었다. 거리는 한산하고, 매매‧임대 광고물로 어지럽다. 영동 일대는 군산 최대 번화가다. 한때 주말이면 외박 나온 주한 미군까지 가세해 북새통을 이뤘다. 화려했던 시절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급작스런 몰락은 착잡하다. 사실 쇠락 조짐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 다만 변화를 눈치 채지 못했을 뿐이다. GM은 군산과 부평을 놓고 검토하다 군산을 희생양으로 삼았다. 정치적 판단이 가미됐다.

특정 대기업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경제 참사를 부른 주된 원인이다. 조선과 자동차 산업이 54%를 차지하는 구조는 기형적이다. 이들 산업이 활황일 때는 덩달아 잘 나가지만 불황일 때는 함께 추락한다. 착시현상이다. 현대중공업 유치를 위해 200억원을 지원했지만 물거품이 된 것이다. 중소기업 육성이라는 기본을 소홀히 한 정치적 단견이 부른 결과다. 대기업 유치에 목을 매는 지방도시라면 교훈으로 삼을 일이다. 이후에도 군산시와 지역 정치권은 미진하게 대처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좋은 사례다. 처지가 비슷한 통영시는 지난해 사업비 1조 1041억원짜리 경제 기반형 사업에 선정됐다. 조선소 부지를 활용해 문화, 관광, 해양산업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반면 군산은 중심시가지형(250억), 우리동네살리기형(63억)에 그쳤다. 1조1041억원과 313억원 사이 간극을 무엇으로 설명해야할까.

스웨덴 말뫼는 조선 산업으로 흥했다가 망했다. 2002년 9월 138m 높이 크레인이 현대중공업에 1달러에 팔린 일은 상징적이다. ‘말뫼의 눈물’로 회자됐던 말뫼는 새로운 산업도시로 부활했다. 조선소 부지와 인근 지역에 신재생에너지, IT, 바이오 같은 첨단 산업을 집중 육성했다. IT스타트 기업만 500여 개 사에 달한다.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스웨덴 말뫼까지 외레순 대교(8km)는 국경을 초월한 경제권으로 묶였다. 군산도 옛 영화를 되찾을 수 있다. 관건은 어떻게 하느냐다. 도시 재생 성공사례는 숱하다. 독일 ‘팩토리 베를린’, 스웨덴 말뫼, 일본 고토부키초, 영국 브릭스톤 낙후지역 개발까지 다양하다. 흉내 내기에서 벗어나 군산이 지닌 자산을 활용하고 군산다움을 지향할 때 가능성은 열려있다.

이문열은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라는 소설에서 고향을 이렇게 정의했다. 누구든지 고향에 돌아갔을 때, “아 드디어 고향에 돌아왔구나” 싶은 사물이 하나씩은 있기 마련이라고. 그것은 이 십리 밖에서도 보이는 고향의 가장 높은 봉우리일 수도 있고, 협곡의 거친 암벽 또는 동구 밖 노송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고향을 떠난 이들에게 애잔하게 읽히는 대목이다. 서울에서 재수할 때 군산에서 왔다고 하면 사람들은 그곳이 어디냐고 되물었다. 속이 상했지만 군산상고가 있는 곳이라고 하면 반응을 했다. 당시는 고교야구가 대세였다. 군산상고는 1972년 황금사자기 대회에서 9회 말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 우승 퍼레이드가 있던 날 전라북도 전역은 열광했다. 그때는 야구 때문에 웃고 울었다. 군산상고와 벚꽃 흩날리는 월명공원, 그리고 해망동 겨울 추위까지도 군산을 떠난 이들에게는 그리움이다.

군산은 생각보다 많은 보물을 갖고 있다. 오래 전부터 영화인들은 군산을 주목했다. ‘군산’이란 이름을 달고 제작된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에 앞서 잘 만든 영화들이 수두룩하다. ‘박하사탕’을 비롯해 ‘8월의 크리스마스’ ‘타짜’ 등 100여 편 넘는 영화가 군산을 무대로 한다. 영화인들과 외지인들이 주목하는 가치에 답이 있다. 그것은 군산다움을 만드는 원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