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편집=이경태 기자]
안녕하세요. 경제X-ray에 이경태 기자입니다.
최근 공유경제 서비스로 많이 알려진 사업으로는 카카오의 카풀 서비스겠죠.
다만, 택시업계의 강경 대응에 이 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기도 합니다. 세계적으로 공유경제 산업이 활성화돼 있는데,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사업자와의 갈등 속에서 공회전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한편으로는 카풀 서비스로 택시기사들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들어보면, 이것도 맞고 저것도 맞고...어느 한 쪽의 입장만 들어보기에도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정부 역시 혁신성장의 한 분야로 카풀 서비스의 규제개혁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또 이해당사자간의 의견차 해소에서 힘을 쏟고 있다고 합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12/10/20181210132643278152.jpg)
미국에서 자율주행택시가 상용화되면서 택시업계의 반발에 부딪힌 카카오 카풀 등 공유경제 서비스가 자칫 옛날 시티폰 신세로 전락하는 것은 아닐지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이경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