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4차 산업혁명 구조조정…자율차 뜨고 수소차 진다”

2018-11-25 12:14
  • 글자크기 설정

드론‧AR‧블록체인 산업화 가능성 낮아 소외될 것

내년 글로벌 경제 경기둔화로 국내산업 성장세 약화 예상

[사진=바이두]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산업화 가능성 검증 과정에서 구조조정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자율주행차와 양자컴퓨터 등의 기술은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반면, 드론‧수소차‧블록체인 등은 가능성이 높지 않아 구조조정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2019년 산업경기의 10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내년 산업경기 키워드로 ‘기로(CROSSROADS)’를 제시했다.
연구원이 제시한 내년 산업경기 10대 키워드는 △공통위험의 부상 △산업 경쟁력의 추락과 반성 △건설업의 공급과잉 그리고 위기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논쟁 대두 △지속가능 에너지에 대한 고민 △4차 산업혁명의 구조조정 △인구 오너스의 위협 △아세안의 기회와 위험 △노동 절약적 기술진보의 확산 △한류 산업의 비상 등이다.

이 중 연구원은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을 받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들에 대한 산업화 가능성을 검증하려는 노력들이 확산되면서 관련 부문 간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산업화 가능성이 높고 시장수요도 뒷받침돼 구조조정에서 살아남을 기술은 △바이오기술(BT) △자율주행차 △양자컴퓨터 등을 꼽았다.

고령화와 의료비 지출 추세를 보면, 향후 바이오기술에 대한 산업화가 빠르게 진전될 것으로 예측되고, 자율차는 교통시스템 수요 확대와 인공지능 기술발전 등으로 상업적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봤다. 정보량 급증으로 기존 컴퓨터의 능력을 넘어선 양자컴퓨터의 사용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상당수 연구자들에 따르면 △딥러닝 △블록체인 △증강현실 △드론 △수소차 등의 산업화 가능성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전망이 확산 중이라고 연구원은 전했다.

연구원은 “수소차는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의 미래 자동차에 대한 지향점이 전기차에 있다”며 “스테이션망 구축에 대한 부담 주체의 문제 등으로 본격적인 산업화의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드론은 산업화 초기 단계의 시장은 형성돼 있으나 추가적 수요 확장을 끌어 낼만한 유인이 부족하고, 블록체인은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핵심 기술의 부족과 운영시스템의 미성숙 등으로 한계에 봉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단기간 내 산업화가 가능한 분야로 자금‧지원이 집중되고 그렇지 않은 분야는 소외되면서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국내 산업의 대부분은 글로벌 경제의 경기둔화라는 공통위험에 직면하면서 성장세가 약화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원은 이 영향으로 상당수 기업의 경기가 정체되거나 둔화 국면에 위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력산업의 경쟁력 추락을 두고 정부와 산업계의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산업구조 재편과 경쟁력 제고에 대한 구체적 행동을 기대했다.

연구원은 한국사회가 인구보너스 시대에서 인구오너스 시대로 본격적인 전환이 이뤄지며 기존 산업 간 명암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로봇산업 △IT서비스산업 △슬로이코노미산업은 긍정적이지만, △농림어업 △오프라인 소매업 △노동집약적 제조업 및 건설업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아세안 지역의 고성장은 우리기업에게 기회요인인 동시에 지역경제의 하방리스크가 높아지는 상황은 위험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 동남아 지역의 건전성 문제와 중국경제 경착륙에 따른 전염 우려는 이 지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에게 하방리스크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연구원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어 관련 기술‧산업의 발전이 기대되고, 높은 임금상승률로 기업 노동비용이 증가하면서 제조업의 공정자동화 및 서비스업의 무인시스템화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내년에는 경기하강이라는 단기적 위험과 산업경쟁력 고갈이라는 중장기적 위험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대부분의 산업들이 도약과 추락의 기로에 직면할 것”이라며 “정부와 기업은 경기 하방리스크에 대한 적극적 대응에 주력하면서 혁신을 통한 핵심 경쟁력 제고 및 새로운 시장 발굴을 통한 돌파구 모색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