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경기침체를 비롯해 중국 시장의 불안정성 등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한국 경제가 경착륙할 조짐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래 경기 방향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가 장기간 하락하면서다. 이에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4일 ‘경착륙, 시작되다-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올해 1월 99.0포인트(p)를 저점으로 2월 99.2p, 3월 99.7p, 4월 99.9p로 반등하고 있다.
반면 미래 경기 방향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1년 6월 102.2p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 하락해 지난 4월 98.0p로 집계됐다. 약 2년간 4.2p가 떨어진 수준이다. 이는 앞으로의 경기 상황이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수요 부문 경기 동향을 보면 4월 소매 판매는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실질 구매력 감소로 전월 대비 2.3%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1.1% 줄었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5.2% 감소해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특히 5월 대중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0.8% 감소해 12개월 연속 감소세였다.
산업별 경기 동향의 경우 4월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4% 줄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0.8% 하락했다. 또 경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 △중국 시장 불안정성 등을 꼽았다.
미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연 1.3%로 성장세를 보였으나, 통화 긴축정책으로 기업 투자 침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 측은 평가했다.
중국 시장의 경우 4월 소매 판매 증가율이 18.4%로 집계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로 실물 지표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 역시 소비 회복으로 4.5%를 기록했다.
하지만 민간과 정부의 높은 부채, 부동산 시장 침체라는 구조적 문제가 중국 시장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고 연구원 측은 지적했다.
최근 위안·달러 환율은 중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인 달러당 7위안을 상회하고 있다. 연구원 측은 이런 경기 동향을 바탕으로 2분기 한국 경제는 경착륙이 시작되는 상황에 놓였다고 설명했다.
결국 한국 경제가 현재 ‘상저하고’의 회복 혹은 ‘상저하저’의 장기 침체라는 갈림길에 있다고도 평가했다. 특히 장기 침체의 경우 이듬해까지 장기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연구원 측은 내다봤다.
연구원 측은 "지난 1분기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실질 구매력이 약화하면서 수출과 내수가 침체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시장 규제 완화로 기업 투자를 늘려 소비 시장을 활성화하고, 신흥 시장과 신산업 발굴 노력을 통해 대중국 수출 부진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제기된 금융불안은 글로벌 경제 리스크로 부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 금융불안 우려 등을 이유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4일 ‘경착륙, 시작되다-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올해 1월 99.0포인트(p)를 저점으로 2월 99.2p, 3월 99.7p, 4월 99.9p로 반등하고 있다.
반면 미래 경기 방향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1년 6월 102.2p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 하락해 지난 4월 98.0p로 집계됐다. 약 2년간 4.2p가 떨어진 수준이다. 이는 앞으로의 경기 상황이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5.2% 감소해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특히 5월 대중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0.8% 감소해 12개월 연속 감소세였다.
산업별 경기 동향의 경우 4월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4% 줄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0.8% 하락했다. 또 경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 △중국 시장 불안정성 등을 꼽았다.
미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연 1.3%로 성장세를 보였으나, 통화 긴축정책으로 기업 투자 침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 측은 평가했다.
중국 시장의 경우 4월 소매 판매 증가율이 18.4%로 집계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로 실물 지표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 역시 소비 회복으로 4.5%를 기록했다.
하지만 민간과 정부의 높은 부채, 부동산 시장 침체라는 구조적 문제가 중국 시장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고 연구원 측은 지적했다.
최근 위안·달러 환율은 중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인 달러당 7위안을 상회하고 있다. 연구원 측은 이런 경기 동향을 바탕으로 2분기 한국 경제는 경착륙이 시작되는 상황에 놓였다고 설명했다.
결국 한국 경제가 현재 ‘상저하고’의 회복 혹은 ‘상저하저’의 장기 침체라는 갈림길에 있다고도 평가했다. 특히 장기 침체의 경우 이듬해까지 장기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연구원 측은 내다봤다.
연구원 측은 "지난 1분기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실질 구매력이 약화하면서 수출과 내수가 침체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시장 규제 완화로 기업 투자를 늘려 소비 시장을 활성화하고, 신흥 시장과 신산업 발굴 노력을 통해 대중국 수출 부진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제기된 금융불안은 글로벌 경제 리스크로 부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 금융불안 우려 등을 이유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