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용 한국어촌어항협회 이사장은 온화하고 푸근한 스타일의 ‘큰형님’ 리더십으로 정평이 나 있다. 웬만해서는 부하 직원에게 큰소리를 내지 않는다. 고민거리를 털어놓게하는 특유의 화법도 재미있다.
자신이 생각하고 구상한 부분과 직원들 생각이 다를 경우 ‘경청’을 우선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직원들도 최 이사장과 스스럼없이 대화하고 고민거리를 상담한다.
당면한 과제도 산적해있지만, 우선적으로 조직을 새롭게 정비하는 것이 급선무다. 조직개편은 어느 기관이든 민감하다. 최 이사장도 취임 후 나름대로 조직을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 공단 출범 후 가장 먼저 하려는 작업이 조직개편이라는 것은 당연한 수순인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직원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통합하는 부서, 쪼개지는 부서 등 자신이 구상한 부분과 실무부서에서 요구하는 것이 다른 부분을 절충하겠다는 포석이다.
최 이사장은 해양수산부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이다. 부서도 해양, 수산을 가리지 않고 두루 경험했다. 소위 말하는 ‘해피아’와 관련도 없다. 강원도 춘천 출신으로 부산 출신이 강세를 보이는 틈바구니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성장했다.
위기대처 능력이 탁월해진 것도 적절한 처세술과 두터운 후배들의 신뢰가 바탕이 됐다. 어촌어항협회 이사장이라는 자리가 어떻게 보면 최 이사장에게는 ‘한직’으로 비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최 이사장은 “내 능력이 어디에 쓰이든 좋은 결과로 돌아온다면 충분하지 않을까. 협회에 와보니 정말 중요한 조직인데도 여러 걸림돌이 많다는 것을 느꼈다”며 “공단으로 재도약하는 만큼, 우리가 할 일이 많아질 것이다. 직원의 역량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공단으로 출범하면 조직 정비 후 현장으로 달려가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아직 어촌체험마을도 일부만 돌아봤다며 머쓱해하는 그의 모습을 보면 내년부터 협회 일이 정말 많아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최 이사장은 “협회가 출범한 지 31년이 됐다. 조직적으로나 사업적으로나 성숙 단계를 지났다”며 “전문기관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어촌 현대화 사업을 비롯한 협회 역할에 자부심을 갖도록 직원과 소통하는 이사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