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무역전쟁 등의 현안에 직·간접적으로 얽혀 있는 중국과 러시아, 일본 등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인다.
관련 이슈를 주도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거친 행보를 견제하기 위한 공동 전선이 구축될 지 주목된다.
같은 기간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러시아를 찾는다. 이에 따라 포럼 기간 중 러·일(10일), 중·러(11일), 중·일(12일) 등 3국 정상 간 연쇄 회담이 이뤄지게 됐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전날 사설을 통해 "지역 평화와 안정, 상호 신뢰와 협력을 위한 새로운 진전이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인민일보는 시 주석이 집권 이후 처음으로 이번 포럼에 참석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올 하반기 중·러 간의 가장 중요한 최고위급 교류"라고 소개했다.
시 주석이 포럼 참석을 결정한 것은 미·중 갈등 속 우군 확보가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인민일보는 "최근 역(逆) 글로벌화와 보호무역주의, 일방주의가 활개를 치고 있다"며 "동방경제포럼은 국제 및 지역 문제를 심도 있게 토론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 주석은 이번 포럼 참석을 계기로 상호 이익과 공동 번영의 원칙을 주도할 것"이라며 "경제 협력 강화와 무역·투자 편리화 추진,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 등이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정확한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와 공동보조를 취하며 미국의 대중 압박에 맞서겠다는 내심을 드러낸 것이다.
중·러·일 3국은 과거 6자회담 참여국으로, 이번 연쇄 정상회담에서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논의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북한을 지렛대 삼아 미국을 견제하겠다는 의도를 감추지 않고 있다.
시 주석은 전날 열린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 기념 행사에 중국 권력 서열 3위인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특별대표로 파견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전달한 친서를 통해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게 확고한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의 경우도 과거에 비해 한반도 내 영향력이 크게 위축됐지만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에서 완전히 소외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
일본 역시 아베 총리가 "김정은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힐 정도로 북·미 비핵화 협상 과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국 정상 간 회담을 거쳐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한 공동의 입장 표명이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도발로 미국이 세계 각국과 벌이고 있는 무역전쟁 관련 이슈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이미 전면전 양상으로 돌입한 데 이어 일본까지 무역전쟁의 새로운 타깃으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일본이 오바마 대통령과 협상을 하지 않은 것은 보복을 당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지만 지금은 정반대"라며 "지금까지 협의에 임하지 않았던 유일한 이유는 중국 문제 때문"이라고 말했다.
688억 달러(약 77조3000억원)에 달하는 미국의 대일 무역적자 규모가 완화되지 않으면 일본을 상대로 실력 행사에 나설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아베 총리가 이번 러시아 방문 기간 중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할 만한 발언을 내놓지는 않겠지만, 중·러 정상과 관련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