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준 카탈로그 대표 "DNA 기반 데이터 저장 매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KEY"

2018-09-09 14:44
  • 글자크기 설정

- 내년 세계 첫 상용화...1GB에 고화질 영화 1000편 이상 저장

박현준 카탈로그 테크놀로지 대표. [사진=카탈로그 테크놀로지]


4차 산업혁명 시대, 데이터는 기존의 생산요소를 능가하는 핵심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른바 '빅데이터'로 불리는 초연결 시대에는 데이터 규모가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커질 전망이다.

이미 세계 주요국은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데이터 산업 육성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넘쳐나는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미래 국가 경쟁력이 좌우될 것으로 점쳐진다.
카탈로그 테크놀로지는 내년부터 DNA 기반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시작하는 신생 벤처 기업이다. 카탈로그 테크놀로지 창업자인 박현준 대표는 일찌감치 데이터 저장의 중요성을 감지하고, 해당 영역에 선제적으로 진출한 인물이다.

박 대표는 서울대 생명과학부를 나와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MIT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2016년 카탈로그를 창업했다. 박 대표는 연구실에서 합성 생물학 기법을 디지털 정보 저장에 활용, 1기가바이트(1GB) 용량의 고화질 영화 1000편 이상을 저장할 수 있는 수준의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발명했다.

박 대표는 데이터 저장 매체가 향후 모든 산업에 적용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한다. 세계 최초로 DNA 기반 데이터 저장 서비스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카탈로그 테크놀로지의 박 대표를 본지가 찾았다.


-카탈로그 테크놀로지(CATALOG Technology)란.
"저와 공동 창업자는 앞으로 우리 회사의 콘셉트, 앞으로 제공할 서비스 등 포괄적인 의미를 담은 단어를 회사명으로 정하고자 했습니다. CATALOG라는 용어는 우리가 곧 론칭할 장기 기록 서비스에 어울리는 동시에, 우연하게도 DNA의 기반이 되는 'A', 'T', 'G' 그리고 'C'를 포함하고 있어 결정하게 됐습니다."

-DNA 데이터란.
"우리는 'DNA 데이터'와 'DNA 기반 데이터(DNA-based data) 저장 매체'라는 용어를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DNA 데이터는 보통 DNA의 세포원(cellular source)에서 분리해낸 유전 정보를 뜻합니다. 우리는 유전 정보가 없는 인공 DNA를 다루는 대신 생물 고분자 물질(biopolymers)을 차세대 디지털 정보 저장 매체로 사용합니다. SDD에 실리콘이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카탈로그 테크놀로지 기술의 참신한 점은 금속 활자판처럼 응용할 수 있는 DNA를 발명해냈다는 것입니다. 기본 DNA 기반 정보 저장매체를 종이에 펜으로 내용을 옮겨 적는 수준으로 표현한다면, 우리의 기술은 암호화에 극적으로 더 적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한 금속 활자판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DNA 데이터 시장에 진출하게 된 이유는.
"현재 세상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보다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기존의 데이터 센터는 넓은 공간과 여러 가지 자원을 필요로 합니다. 반면에 DNA는 자연에 의해 선택돼 수십억년 동안의 진화를 거쳐 완성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데이터 센터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이상적인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향후 DNA 시장의 발전 가능성은.
"여러 정부 기관, 대형 IT 기업, 그리고 기존 방식의 데이터 저장 매체를 생산하는 업체들은 이미 차세대 저장 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지닌 DNA를 연구 중에 있습니다. DNA는 데이터 저장 매체 시장의 최하급 시장으로 진입해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서서히 최상급 시장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DNA 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의 연관성은.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게 하는 기술의 융합입니다. 또한 방대한 양의 정보가 폭발적으로 생성됩니다. DNA 기반 데이터 저장 매체는 이런 현상의 중심에 있습니다. 우리는 생물학적·기술적 분야를 서로 합치는 것으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데이터 저장 대란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상용화 계획은.
"우리는 2021년에 산업용 서비스 시작을 앞두고 2019년 상반기에 상용화된 파일럿 프로그램을 론칭하기 위해 준비 중입니다."

-앞으로 어떤 분야에서 DNA 데이터 기술이 사용될지.
"DNA 기반 데이터 저장 매체는 장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데에 이상적인 매체입니다. 미래에는 개인 건강 정보를 저장하는 생체 저장 매체로서 사용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암호화된 데이터 키를 보관하기 위해 DNA 기반 저장 매체를 찾는 이들도 있습니다."

-DNA 데이터 기술에 값어치를 매긴다면.
"아직 제대로 발돋움하기 이전의 산업에 가치를 매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저장 매체 업계를 예로 들자면, 2017년에는 307달러 규모였던 것이 23.7%의 연간 평균 성장률을 보여 2022년에는 88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 저장 산업은 2015년에 43억 달러 규모였지만 11.8%의 연 평균 성장률을 보여 2020년에는 75억500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를 저장할 매체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카탈로그 테크놀로지의 장기적 목표는.
"카탈로그 테크놀로지의 목표는 생물학을 활용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단기 목표로는 차세대 데이터 저장 매체를 개발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큰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장기 목표로는 2021년에 론칭할 산업용 서비스로 이를 앞두고 2019년에 진행될 파일럿 프로젝트를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