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취재현장] '적반하장' 권력 뒤에 숨은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2018-08-03 06:00
  • 글자크기 설정

   전국부(세종)/김기완 기자.

세상에는 상식이라는 게 있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릇된 것인지 모두가 알고 있는 기준이 바로 상식이다. 이것이 잘못되면 힘 있는 자에 의해 자행된 악행은 선례가 되고, 그것이 마치 상식으로 둔갑하는 사회로 변질된다.

상식대로 살기 위해선 때론 고통과 용기가 필요하다. 여러 번 선택의 갈림길에 선 사람들은 그때마다 좀 더 쉬운 길을 선택한다. 자신의 인맥과 힘을 사용하고, 힘 있는 자 옆에 붙어서 지름길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관련기사, 4월3일, 24일, 25일, 5월1일, 3일, 4일, 7일, 14일, 16일, 20일 보도]

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이 수탁받아 운영되고 있는 세종시 종촌종합복지센터.

공무원 갑질과 직원채용 인사 개입으로 촉발된 수 많은 문제점이 바로 상식대로 살고자 애쓰는 다수 시민의 희망을 꺽으며 충격을 주고있다.

기자가 세종지역 한 언론매체와 공동 취재팀을 구성, 제보를 바탕으로 조사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것은 이 사건에 지역내 선출직과 정무직 공무원, 직업직 공무원이 개입돼 있었다는 점이다. 아직까지 사법기관에서 수사가 진행중에 있고, 워낙 메가톤급 사건이라 수사 결과에 지역사회의 촉각이 곤두서 있다.

제보에 따라 취재가 시작됐고, 증언과 증거를 확보한 취재팀은 종촌복지센터 문제점에 대한 의혹 기사를 지난 5월 보도했다. 당시, 이 센터의 한 직원은 세종시를 출입하는 기자들에게 해명 자료를 보내기도 했다. 이는 "이해찬 국회의원 전 보좌관 부인을 인사 청탁한 사실이 없다"는 것이다.

또 종촌복지센터 센터장도 "이해찬 국회의원 전 보좌관 부인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인사 청탁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설득력은 떨어진다. 이는 이렇게 주장한 종촌복지센터장은 올해 1월 채용됐고, 청탁 사건이 있었던 당시에는 센터에 근무하지도 않았고, 비공개로 진행된 청탁과 관련된 사실을 알 수도 없는 인물이라서다.

특히 이 같은 주장에는 여러가지 의문도 뒤따랐다. 종촌복지센터 후원사찰인 광제사 주지스님이 지난 3월 A4용지 15페이지 분량으로 복지센터 채용에 행정기관의 갑질과 권력의 개입과 인사청탁이 있었다는 제보 e메일을 세종시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기록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런 사실이 없다는 것이다.

권력이 개입돼 있는 사건이니 만큼, 상황에 따라 유리한 쪽으로 논리를 바꾸는 것으로 읽혀진다. 경찰과 검찰도 함부로 할 수 없을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깔려 있는 것으로 읽혀지는 대목이다.

그동안 종촌복지센터 직원들 사이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에 공감하고,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는 등 용기를 보여왔지만 권력이 개입된 상황에서 항상 좌절해야만 했다.

이런 상황이 이어져오면서 종촌복지센터는 기사를 보도했던 한 지역 언론사를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했다. 해당 언론사는 취재과정에서 종촌복지센터 측의 반론을 서술해 보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소됐다.

그러나 정정보도와 반론보도를 주장한 종촌복지센터의 요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오랜 논쟁끝에 중재위원들은 반론만 한번 더 해주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불합리적인 주장을 하다가 오히려 형사 사건으로 진행될 것을 우려, 한발 물러선 것이다.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속담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지면을 빌어 한마디 하고 싶다. 이 사건을 취재했던 언론사는 지역내에서 유력한 매체다. 권력과의 친분도 사실상 없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매체는 시민을 위해 권력과 정면 대결을 결정하고 용기를 냈다. 취재과정에서 기자 정신을 발휘하며, 불의에 분노했고 악행을 미워했기에 문전박대를 당하면서도 발품을 팔면서 실체적 진실에 다가서기 위해 노력하며, 기사를 보도해 왔지만 종촌복지센터 측은 허무맹랑한 주장으로 일관했고, 업무방해를 운운하며 오히려 기자의 취재를 방해했다.

단언컨대, 아직까지 사건은 수사가 진행중인 상황이고, 언론의 취재도 멈춘것이 아니다. 지역내 거대 권력들과 공무원이 개입된 사건이기에 진실을 밝힐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안심해선 안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