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왕개미 발견된 인천항…추가 붉은불개미 없어

2018-07-09 11:08
  • 글자크기 설정

인천항 2곳에서 총 776마리 발견돼

번식 가능 수개미‧공주개미 발견 안 돼 확산 가능성 낮아

인천시 중구 인천컨테이너터미널에서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가 붉은불개미가 발견된 지점을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붉은불개미 여왕개미가 발견된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정부가 검역당국‧관계기관 등으로 꾸려진 합동조사팀을 꾸려 조사를 벌였지만, 최초 발견지점 2곳 이외에 추가 붉은불개미가 발견되지 않았다.

정부는 이달 6일 붉은불개미가 발견된 인천항에 농림축산검역본부‧환경부 등 관계기관과 학계 전문가 등 59명을 투입해 8일까지 합동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최초 발견지점인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 아스팔트 균열 부위에서 붉은불개미는 여왕개미 1마리와 애벌레 16마리, 일개미 639마리가 확인됐다.

최초 발견지점으로부터 약 80m 떨어진 지점에서는 일개미 120마리가 발견돼 총 776마리가 발견됐다.

여왕개미가 확인된 최초 발견지점과 약 80%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일개미가 같은 군체인지 여부는 현재 유전자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검역본부는 인천항 붉은불개미의 유입시기를 올해 봄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 등에서 진행된 연구자료에 따르면, 일개미 수가 200~1100마리 이내의 경우는 군체 나이를 3~4개월로 추정한다.

특히 이번 군체에 번식 가능한 수개미와 공주개미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확산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검역본부의 판단이다.

여왕개미가 번식 가능한 수개미와 공주개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에서 1년이 걸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확한 판단을 위해 발견지 인근 주변지역에 대한 추가 정밀조사를 계속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9일부터는 고정적으로 설치해 두는 예찰트랩과 별도로 설치 당일 수거‧조사가 가능한 300개의 간이트랩을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해 조사를 한층 강화했다.

또 관계부처‧외부전문가와 합동으로 방제대책을 추진, 전국 42개 공항‧항만 등을 대상으로 집중 예찰도 강화한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붉은불개미와 같은 외래병해충 발견 즉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