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희진 대신자산운용 대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6월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0.25%포인트 오른 1.75~2.00%로 인상했다. 올해 들어 두 번째 인상이고, 3개월 만에 다시 올린 것이다. 연내 금리를 인상할 횟수도 3차례에서 4차례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경제가 매우 좋다(The economy is doing very well)"고 밝혔다. 그는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 이번 금리 인상 근거를 분명하게 제시했다.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8%로 점쳐지고 있다. 2015년(2.9%)에는 못 미치지만, 2006년 이래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경기 확장을 더 이어나갈 수 있다고 자신한다. 그는 보호무역과 확대재정 정책을 붙들고 있다.
그러나 경기 확장은 임계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성장률 전망치가 추가적으로 오르지 않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생산성 향상을 이끌 견인차가 부족해서다. 20년 만에 최저로 떨어진 실업률에도 부담스러운 대목이 있다. 도리어 경기 확장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거나,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017년 4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꾸준히 상향 조정돼왔다. 하지만 2분기부터는 정체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이 성장세를 견고하게 유지하고는 있지만, 이를 더 지속시켜줄 재료는 많지 않다.
경기가 확장에서 둔화 국면으로 돌아설 때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대체로 민간투자와 재고투자, 부동산 가격에 대한 가파른 조정이 경기와 자산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나마 이번 경기 확장기에는 민간투자 부문에서 과열 징후가 없고, 재고 축적도 심각하지 않다. 부동산 과열 기미 또한 찾기 힘들다. 즉, 경기가 확장에서 둔화 사이클로 전환하더라도 경기 위축이나 자산가격 조정이 과거에 비해 심각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렇더라도 신흥국이 받을 영향은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미 경기 둔화 리스크가 여러 신흥국에서 부각되고 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리는 과정에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통화위기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리 상승은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을 늘리고, 차입에 기반한 투자를 청산시킨다. 신흥국에 유입되었던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은 경기 확장을 근거로 긴축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점쳐진다. 트럼프가 임명한 파월 의장은 신흥국과 남유럽에서 불거지고 있는 금융시장 불안을 외면하고 있다. 미국은 유럽연합(EU)과 캐나다, 멕시코 같은 우방국에도 철강 관세를 부과했다. 게다가 중국산 제품에 500억 달러(약 54조1250억원)에 달하는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승인했다.
미국은 독자적인 길을 걷고 있다. '아메리카 퍼스트'를 밀어붙이고 있고, 이를 현실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보호무역이나 긴축은 경기 정점을 앞당길 수 있다.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 경기가 꺾인다면 미국 경제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나머지 국가가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면 미국도 물가 상승과 소비 둔화를 피하기 어렵다. 미국만 지속적으로 순항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
결국 다수 신흥국은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위기설이 꼬리를 물고 있는 이유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세계 경기 둔화와 신흥국 위기설에 대한 경계 강도를 높여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