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조선업의 취업유발계수다. 우리나라 효자 수출품인 반도체(4.3)와 석유제품(1.3)을 크게 앞선다. 취업유발계수란 특정 재화를 10억원 생산하는 과정에서 유발되는 직·간접 취업자 수를 말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월 "세계 1위 조선산업 비전은 포기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고 짚었다.
◆조선업, 수출·고용·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절대적
그동안 우리나라 조선업은 세계 최고로 평가받아 왔다.
1972년 현대중공업이 울산에 조선소를 착공하며 조선산업에 진출한 지 반세기도 안돼 2003년 이후 일본을 제치고 선박 주문량, 선박건조량에서 모두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009년에는 세계 시장에서 33.1%에 이르는 점유율을 달성했다.
국내 조선사들은 설계, 생산, 관리 등 모든 면에서 일본, 중국을 압도하며 '수출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해 왔다. 한창 잘나가던 2008년에는 수출액이 431억달러(약 47조원·총 수출의 10.2%)로 자동차, 반도체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사실상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쳐 온 셈이다.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절대적이다. 5대권역인 경남, 울산, 부산, 전남, 전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액을 기준으로 최대 20.6%(경남)에 달했다. 고용을 기준으로 한 비중 역시 최대 19.5%(울산)로 20%에 육박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조선업 사업장은 6047개소로, 이 중 경남지역(2599개소)이 가장 많았다. 경남, 울산, 부산, 경북 등 영남권에 밀집(78.3%)돼 있고, 일부는 전남(16.1%)에 분포했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창출 등에서 타산업보다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훨씬 크다"고 강조했다.
◆고부가선박, 원가 절감 통해 경쟁력 갖춰야
국내 조선업은 수년 전부터 불황으로 극심한 수주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에 중국 등 경쟁국은 값싼 노동력과 진보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맹추격하고 있다.
실제로 2016년 전세계 발주량은 전년비 67%나 급감했다. 이듬해 반등하긴 했으나 2011~2015년 평균의 58% 수준에 불과했다.
이 기간 우리나라 선박 수주량은 177만6000CGT로 시장점유율이 최고치 대비 반토막났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가 선박 발주량 추이를 집계한 1996년 이래 최저치였다.
이 여파로 2007년 30곳에 이르렀던 국내 중견조선사 수는 5곳으로 쪼그라들었다.
장기불황에 따른 수주감소 및 채산성 악화는 지역경제 침체를 가속화했다. 한 대형조선소의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해 인원을 약 30% 감축했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해운과 조선의 상생을 핵심 정책 가운데 하나로 정하고 특히 조선업에 대해선 6대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경쟁 및 사업구조 개편 △중소형 조선사 경쟁력 제고 △선제적 시장창출 및 해외시장 개척 △미래를 위한 투자(친환경·자율운항 선박) △상생 성장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화 △일자리 유지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이다.
글로벌 시황도 회복세를 타고 있다. 클락슨리서치는 올해 선박 발주량이 1134척(2780만CGT)로 지난해보다 약 27%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국내 조선사들의 수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지난 2월 기준 국내 빅3 조선소인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의 수주잔량은 각각 77척(543만CGT), 80척(390만CGT), 58척(300만CGT)으로 세계 조선사 순위에서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시장에선 과반 이상을 점유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에 집중해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라며 "공정 자동화로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해운재건 정책을 통해 국내 선박 발주를 늘리는 식으로 조선업의 위기 돌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조선업을 다시 일으키면 국가경제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