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운강국 재도약 ⑤] 조선업 불황 '지역경제 직격탄'

2018-06-15 06:00
  • 글자크기 설정

반도체보다 높은 고용창출력... 중견조선사 30곳서 5곳으로 급감

글로벌 발주량 회복세...고부가船·원가절감으로 극복해야

[사진 제공= 현대중공업]


'12.0'.

조선업의 취업유발계수다. 우리나라 효자 수출품인 반도체(4.3)와 석유제품(1.3)을 크게 앞선다. 취업유발계수란 특정 재화를 10억원 생산하는 과정에서 유발되는 직·간접 취업자 수를 말한다.
정부가 해운재건 정책을 통해 해운업, 나아가 관련산업인 조선업을 회생시키기 위해 발버둥치는 이유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월 "세계 1위 조선산업 비전은 포기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고 짚었다.

◆조선업, 수출·고용·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절대적
그동안 우리나라 조선업은 세계 최고로 평가받아 왔다.

1972년 현대중공업이 울산에 조선소를 착공하며 조선산업에 진출한 지 반세기도 안돼 2003년 이후 일본을 제치고 선박 주문량, 선박건조량에서 모두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009년에는 세계 시장에서 33.1%에 이르는 점유율을 달성했다.

국내 조선사들은 설계, 생산, 관리 등 모든 면에서 일본, 중국을 압도하며 '수출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해 왔다. 한창 잘나가던 2008년에는 수출액이 431억달러(약 47조원·총 수출의 10.2%)로 자동차, 반도체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사실상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쳐 온 셈이다.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절대적이다. 5대권역인 경남, 울산, 부산, 전남, 전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액을 기준으로 최대 20.6%(경남)에 달했다. 고용을 기준으로 한 비중 역시 최대 19.5%(울산)로 20%에 육박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조선업 사업장은 6047개소로, 이 중 경남지역(2599개소)이 가장 많았다. 경남, 울산, 부산, 경북 등 영남권에 밀집(78.3%)돼 있고, 일부는 전남(16.1%)에 분포했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창출 등에서 타산업보다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훨씬 크다"고 강조했다.

◆고부가선박, 원가 절감 통해 경쟁력 갖춰야
국내 조선업은 수년 전부터 불황으로 극심한 수주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에 중국 등 경쟁국은 값싼 노동력과 진보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맹추격하고 있다.

실제로 2016년 전세계 발주량은 전년비 67%나 급감했다. 이듬해 반등하긴 했으나 2011~2015년 평균의 58% 수준에 불과했다.

이 기간 우리나라 선박 수주량은 177만6000CGT로 시장점유율이 최고치 대비 반토막났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가 선박 발주량 추이를 집계한 1996년 이래 최저치였다.

이 여파로 2007년 30곳에 이르렀던 국내 중견조선사 수는 5곳으로 쪼그라들었다.

장기불황에 따른 수주감소 및 채산성 악화는 지역경제 침체를 가속화했다. 한 대형조선소의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해 인원을 약 30% 감축했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해운과 조선의 상생을 핵심 정책 가운데 하나로 정하고 특히 조선업에 대해선 6대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경쟁 및 사업구조 개편 △중소형 조선사 경쟁력 제고 △선제적 시장창출 및 해외시장 개척 △미래를 위한 투자(친환경·자율운항 선박) △상생 성장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화 △일자리 유지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이다.

글로벌 시황도 회복세를 타고 있다. 클락슨리서치는 올해 선박 발주량이 1134척(2780만CGT)로 지난해보다 약 27%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국내 조선사들의 수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지난 2월 기준 국내 빅3 조선소인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의 수주잔량은 각각 77척(543만CGT), 80척(390만CGT), 58척(300만CGT)으로 세계 조선사 순위에서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시장에선 과반 이상을 점유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에 집중해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라며 "공정 자동화로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해운재건 정책을 통해 국내 선박 발주를 늘리는 식으로 조선업의 위기 돌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조선업을 다시 일으키면 국가경제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