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6/02/20180602053648797275.jpg)
[사진=바이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2일 싱가포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북·미 회담에서 한반도 종전 문제도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을 예방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면담 후 나온 것이다. 면담은 무척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으며 김 부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은 북한이 핵프로그램을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시작이 될 것"이라면서 “결국에는 무척 긍정적인 결과를 얻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비핵화에 전념할 것이라고 확신하냐는 질문에는 "그것(비핵화를) 원한다고 생각한다. 비핵화를 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비핵화가 미국이 강조해온 '완전하고 검증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에서 종전 선언이 나올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우리는 종전에 대해 논의했다. 이 전쟁은 계속 되고 있다. 거의 70년"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종전을 언급함에 따라 종전 선언 준비를 위한 남북미 정상회담 개최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좋은 관계를 쌓아가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의 압력이라는 말은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서 “대북 제재를 해제하는 날을 고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으로부터 받은 친서의 내용과 관련해 아직 읽지는 않았지만 “무척 멋진 편지다” “무척 흥미롭다”고 말했다. 친서에서 김 위원장은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의지를 전달했으며 어떤 양보나 위협은 없던 것으로 전해졌다. CNN은 북·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낙관적으로 전망하던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의 내용은 중요한 것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WP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김 부위원장의 면담 자리에서 북한의 경제 제재와 한반도 종전을 향한 평화 협정 가능성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되었다고 보도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도 배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 관료들은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WSJ는 백악관 관리를 인용 “우리는 기대하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이번 만남에 대해 생각하는 방향은 긍정적이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