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5/03/20180503071431711508.jpg)
전자랜드 옥상에서 바라본 용산국제업무지구.[사진=용산구 제공]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개발사업으로 불리는 용산국제업무지구 내 종합의료시설이 들어설 전망이다. 이와 연계해 한강로의 알짜배기 땅에 속하는 중앙대 용산병원 부지도 중장기적 개발 조짐이 엿보인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따른 자금난으로 사업 무산 및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해제된 후, 최근 코레일이 사업무산 책임과 토지 반환 소송전에서 민간건설사로부터 연달아 승소하며 재개 가능성도 높아졌다.
코레일은 이번 협약에 따라 추후 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 수립 시 종합의료시설 부지 확보 계획을 마련키로 했다. 동북아 비즈니스 허브로서 위상이 한층 높아지고, 주민 숙원도 함께 해결될 전망이다. 구는 코레일이 중대병원 부지를 합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코레일은 국제업무지구 프로젝트 재개를 위한 '용산역세권 개발 기본구상 및 사업타당성 조사용역'을 이미 2016년부터 이어오고 있다. 서울시 또한 국제업무지구를 포함한 용산개발계획 '마스터플랜(용산 광역중심 미래비전 및 실현전략)'을 오는 6·13 지방선거 이후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협약은 협약사항 완료 시까지 유효하다. 해지 또는 변경이 필요할 땐 상호간 1개월 이전에 통보키로 했다. 추후 코레일은 중대병원 터에서 여러 형태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인근 국제빌딩 쪽도 도시환경정비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일대가 사업자들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도심 내 44만㎡ 대규모 용지가 오랜 기간 방치돼 있어 자치구는 물론 국가적으로 손실이 크다"며 "조만간 사업이 재개되면 주민 숙원이던 종합의료시설 유치에 더해 중대병원 땅도 새롭게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5/03/20180503074823225767.jpg)
용산국제업무지구(붉은색)와 옛 중앙대 용산병원(파란색) 위치.[위치도=용산구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