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맞은 것처럼’이 왜 북에서 인기였을까

2018-03-26 16:24
  • 글자크기 설정
31일부터 내달 3일까지 열리는 평양 공연에 가수 백지영이 포함된 가운데 가요 ‘총 맞은 것처럼’이 공연 곡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곡은 총을 맞은 것처럼 갑자기 이별을 당한 충격을 표현한 애절한 곡으로 지난 2008년 말에 선보였다.

‘총 맞은 것 처럼 정신이 너무 없어... 구멍 난 가슴에 우리 추억이 흘러 넘쳐... 심장이 멈춰도 이렇게 아플 것 같진 않아... 어떻게 좀 해줘 날 좀 치료해줘... 이러다 내 가슴 다 망가져 총맞은 것처럼 정말 가슴이 너무 아파 이렇게 아픈데 이렇게 아픈데 살 수가 있다는 게 이상해... 가슴이 뻥 뚫려 채울 수 없어서 죽을 만큼 아프기만 해 총 맞은 것처럼’

이런 내용의 가사인데 북한의 젊은 층이 좋아하는 곡으로 알려졌다.

‘총 맞았다’라는 표현을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에 비유한 것을 북한의 젊은층이 특이하게 여긴 듯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총 맞았다’는 표현이 총살을 의미해 이를 풍자한 노래가 아니냐는 다른 해석도 있다.

‘총 맞은 것처럼’이라는 제목 자체가 한국에서는 ‘총살’이라는 형이 없지만 북한에서는 ‘총살’을 떠올리게 할 정도로 자극적이다.

이 곡의 인기가 북한의 후진적인 인권실태를 반영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으로 결국에는 뒤떨어진 자신들의 인권에 대한 반발감이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김정은 위원장으로의 정권 세습 이후 북에서는 공포 정치가 지속되면서 고모부인 장성택이 총살되는 등 간부들의 숙청이 이어진 데 따른 반감이 이 곡의 인기에 영향을 준 것이라는 해석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북한 국경에서 중국으로 넘어가는 탈북자도 발견하면 총살하도록 하는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국가정보원 산하 연구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지난 2016년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한 2011년 이후 5년간 총살·숙청한 간부와 주민 등이 340명에 달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북에서 처형·숙청된 간부들은 2012년 3명, 2013년 30여명, 2014년 40여명, 2015년 60여명으로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2015년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처형 이후 숙청을 자제하가 2016년 다시 고위 간부 3명를 처형했다고 했었다.

대표적인 처형 사례는 장성택·현영철, 김용진·최영건 내각 부총리, 변인선 총참모부 작전국장 등이 꼽힌다.

이 곡이 평양 공연곡에 포함됐다니 북측으로서는 이같은 배경은 고려하지 못하고 많이 불려지는 곡으로 허용을 한 듯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총 맞은 것처럼’을 백지영이 부를 때 과연 북측이 관중들이 따라 부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