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8/03/19/20180319080056131330.jpg)
지하철7호선 내방역 일대 개발예시도 [이미지= 서초구 제공]
내년 1월 서리풀터널 개통을 앞두고 서초구 방배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서울 서초구는 방배동 내방역 일대 21만㎡를 16개 블록의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묶어 준주거지역으로 용도를 상향조정하는 '방배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안'을 마련, 22일부터 열람 공고에 들어간다고 19일 밝혔다.
특별계획가능구역은 향후 구체적인 사업방안과 사업추진 계획에 따라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총 16개 블록 단위를 묶어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은 서울시 단일 지구단위계획 중 가장 큰 큐모다.
이렇게 되면 현재 제2·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있는 역세권 용도지역이 준주거지역으로 상향돼 용적률을 최대 400%까지 적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건물의 면적제한도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용적률 제한이 완화되면 공공용지의 기부채납으로 도로, 주차장, 도서관, 어린이집 등 공공기반시설이 자연스럽게 조성될 수 있다. 영화관, 소규모 공연장, 백화점, 쇼핑몰, 대형마트 등의 문화시설 및 생활편의시설도 들어올 수 있으며, 최고 80m 높이의 건물도 지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내년 1월 서리풀터널이 개통하게 되면 서초역과 내방역 사이 37년간 동서로 단절됐던 생활권이 연결되고 터널 위 정보사 부지에는 복합 문화시설이 들어설 계획이다.
서초구는 특별계획구역 외 이수역까지 아우르는 서초대로변과 방배로변의 업무, 문화시설의 연면적 제한을 완화해 방배권역 일대를 도시벨트화하고 명실상부한 경제 문화의 중심축 중 하나로 만들 방침이다.
서초구는 '방배중심지구 지구단위계획안'을 주민 열람 공고하고, 이후 구 도시계획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4월 중순경 서울시에 결정토록 요청할 방침이다.
조은희 구청장은 "방배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이 결정되면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 받았던 이 지역 일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서리풀터널 개통으로 강남 도심의 금융, 정보기술 벨트가 동작과 영등포까지 연결되는 신테헤란로가 조성돼 방배 지역이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급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